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부족한 송전망…'동해안 데이터센터 구축' 논의 활발

<앵커>

강원 동해안에서 가동 중인 화력발전소가 송전망 부족으로 연간 수천억 원의 적자를 보고 있습니다.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남은 전기 활용을 위한 데이터센터 클러스터를 구축에 대한 논의가 활발합니다.

김도운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전기를 운반할 수 있는 송전망이 부족해 절반만 가동 중인 동해안 화력발전소.

주민 반대에 송전선로를 더 만들기도 쉽지 않다 보니 연간 수천억 원의 적자를 보고 있는 실정입니다.

업계는 문제 해결을 위해 잉여 전기를 지역에서 소비할 수 있도록 전력정책 재구성을 촉구해 왔습니다.

[손용호/강릉안인 에코파워 부사장 : 영동지역에 대규모 전원 공급이 되면서 그런 부분을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돼야 합니다. 현재 송전 제약으로 인해 7GW 이상의 대규모 전원이 사실은 발전을 못 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오는 6월부터 발전소의 전기를 민간사업자에게 판매할 수 있는 분산 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을 활용해, 동해안에 대규모 데이터센터를 구축하는 방법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박종배/건국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 : 지금 우리나라 전력정책에서 제일 크게 우선 해결해야 할 문제는 수도권에 있는 신규 수요라든지 산업을 비수도권으로 이전하고.]

남은 전기를 지역에서 소비함으로써 발전소의 가동률을 높일 수 있고, 신규 송전망 건설에 따른 비용과 민원 해소는 물론 전력 소비 절감에도 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겁니다.

특히 강원 동해안의 경우 4개의 발전소가 집중돼 있어 안정적인 데이터센터 전력 공급이 가능하고, 동해안 신재생에너지 등과 연계할 수 있어 장기적인 전력 수급체계에도 도움이 된다는 판단입니다.

[채효근/한국데이터센터연합회 전무이사 : 청정수역이면서 또 온도도 낮고, 심층수를 활용해서 에너지 효율적인 측면에서 좋은 환경이라고 봅니다. 기존의 접근성 때문에 얘기가 됐는데 이제는 원격 접근성이 되기 때문에.]

동해안 화력발전소의 법적 가동 가능 연수만 최소 20년.

정부는 안정적인 전력 공급과 효율화를 위해 정책적 검토를 추진하는 한편, 강원자치도도 영동지역 데이터센터 구축을 위해 적극적으로 나설 계획입니다.

(영상취재 : 이정석 G1방송)

G1 김도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