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플라스틱에 죽음을" 해골 그림 캔에 생수…Z세대 열광

"플라스틱에 죽음을" 해골 그림 캔에 생수…Z세대 열광
▲ 생수 '리퀴드 데스'

무시무시한 해골 그림에 제품 이름에도 '죽음'이라는 단어가 들어가 있는 캔 음료가 최근 Z세대 사이에서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리퀴드 데스'(Liquid Death)라는 이름의 이 음료의 정체는 주류도, 에너지 음료도 아닌 생수입니다.

영국 가디언은 이 생수가 Z세대를 중심으로 유행하고 있는 이유에 대해 마케팅의 성공 덕분이라고 28일(현지시간) 짚었습니다.

이 생수를 판매하는 같은 이름의 기업 '리퀴드 데스'는 2017년 설립됐으며 지난 3년간 세 자릿수의 성장률을 기록했습니다.

지난해 전 세계 매출은 2억6천300만 달러(약 3천500억 원)에 달했습니다.

급속한 성장의 배경에는 반전의 이미지 등을 사용한 영리한 마케팅이 있었습니다.

이 제품이 처음 출시됐을 때는 회의적인 반응이 지배적이었습니다.

가디언에 따르면 생수치고는 가격이 비쌌고, 광고 문구인 "갈증을 죽여라"가 남성성을 지나치게 내세웠다는 지적을 받기도 했습니다.

영국 테스코 매장에서는 500㎖짜리 4개 묶음에 5.5파운드(약 9천600원)에 판매되고 있습니다.

업체는 제품 이름에 들어있는 '죽음'이라는 단어를 마케팅에 활용해 초기의 부정적 반응을 잠재웠습니다.

슈퍼볼 광고에선 마녀의 이미지를 선보이는 등 사람들의 뇌리에 크게 박히는 마케팅 전략을 시도했습니다.

생수라고는 생각하지 못한 사람들이 이 제품을 슈퍼마켓의 맥주 판매대에 진열해놓는 일도 있다고 가디언은 전했습니다.

술 없이도 파티를 즐기고 싶어 하는 젊은이들과 예술가 등의 관심도 끌었습니다.

용기가 플라스틱이 아닌 알루미늄 캔이라는 점도 기후 위기에 관심이 많은 Z세대의 마음을 사로잡았다고 분석했습니다.

마케팅 전문가인 레이철 이건은 이 업체가 내건 모토 중 하나가 '플라스틱에 죽음을'(death to plastic)로, "알루미늄 캔은 무한으로 재활용이 가능하다"는 점을 강조했다며 "Z세대 마케팅에 적중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제품이 단기간에 급성장한 까닭에 인기가 빠르게 식을 수도 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시장조사업체 칸타르의 제인 오스틀러는 "결국 단순히 생수이기 때문에 이익 증가에는 한계가 있다'며 "포장은 다른 브랜드가 곧바로 모방할 수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사진='리퀴드 데스' 공식 홈페이지 캡처,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