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달 착륙에도 태양전지 문제로 웃지 못한 일본…"겨우 합격인 60점"

달 착륙에도 태양전지 문제로 웃지 못한 일본…"겨우 합격인 60점"
일본이 세계에서 5번째로 달 착륙에 성공했지만, 탐사선의 태양전지에 문제가 발생하면서 프로젝트를 주도한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에는 침통한 분위기가 흘렀다고 현지 언론이 보도했습니다.

교도통신과 아사히신문 등에 따르면 JAXA는 오늘(20일) 새벽 0시 20분쯤 달 탐사선 '슬림'(SLIM)이 착륙했음에도 2시간 가까이 지난 새벽 2시 10분쯤서야 기자회견을 열었고, 회견에 참석할 예정이었던 프로젝트 책임자는 불참했습니다.

JAXA 관계자는 기자회견에서 "슬림이 20일 0시쯤 달 상공 15㎞에서 강하를 시작해 약 20분 뒤 달 적도 부근 표면에 착륙했고, 연착륙에 성공했다"며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지구에 보내고 있으며 대체로 잘 움직이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그러나 "슬림이 달 표면에 도달한 뒤 지구와 통신은 되지만 태양전지로 발전이 되지 않는 상황"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슬림은 착륙 과정에서 맹렬한 속도를 급격히 줄여야 하는 '마(魔)의 20분'을 잘 넘긴 것처럼 보였으나, 잠시 후 태양전지가 발전하지 않는다는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착륙할 때 기체의 자세가 흐트러져 태양전지에 태양광이 닿지 않는 상태가 됐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아사히는 전했습니다.

이 신문은 "JAXA는 슬림을 살리기 위해 '배터리 모드'로 전환했다"며 "배터리는 몇 시간밖에 쓸 수 없어 비행 중에 촬영한 영상을 송신하는 작업 때문에 책임자가 기자회견에 나올 수 없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후지모토 마사키 JAXA 우주과학연구소 부소장은 기자회견에서 "빨리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알고 싶다"며 "데이터를 얻기 위해 초조한 상황이라 좀처럼 웃음이 나오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슬림은 애초 달에 착륙한 뒤 태양전지로 발전해 특수 카메라로 달 표면 암석에 포함된 광물 종류 등을 조사할 예정이었습니다.

그러나 태양전지가 정상적으로 가동하지 않으면 며칠 동안 운용할 예정이었던 슬림은 몇 시간 만에 멈춰 버릴 수도 있습니다.

다만 태양의 기울기가 변해 태양전지에 햇빛이 닿으면 배터리가 소진되더라도 슬림이 다시 움직일 가능성이 있다고 아사히는 짚었습니다.

야마카와 히로시 JAXA 이사장은 "최저한의 성공은 했다"며 "일단 착륙했다는 것으로 달 표면에 접근할 길이 열렸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그는 이번 프로젝트에 대한 점수를 평가해 달라는 요청에 "겨우 합격인 60점"이라며 굳은 표정을 지었다고 교도통신은 전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