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80억 전세사기 친 사촌 형제…고급차 타고 주식투자 탕진

80억 전세사기 친 사촌 형제…고급차 타고 주식투자 탕진
▲ 기숙사로 복귀하는 사촌 형제

'무자본 갭 투자' 전세 사기로 6개월간 32명에게 80억 원 넘는 피해를 준 사촌 형제가 구속 상태로 검찰에 넘겨졌습니다.

서울경찰청 금융범죄수사대는 공인중개사무소 중개보조원인 사촌 형과 함께 주택 32채로 전세 사기 행각을 벌인 A(26) 씨를 비롯해 51명을 사기 또는 공인중개사법 위반 혐의로 송치했다고 오늘(15일) 밝혔습니다.

경찰에 따르면 A 씨는 2019년 7월부터 서울 강서구 등지에서 주택을 사들였습니다.

2020년 1월까지 6개월간 사들인 주택은 32채나 됐습니다.

사촌 형 B(32) 씨가 다른 중개보조원과 함께 실제 매매가액보다 높게 설정된 보증 금액으로 전세 계약을 할 세입자를 구했고 계약 체결과 동시에 A 씨가 주택을 소유하도록 했습니다.

A 씨 등은 전세보증금과 매매가액의 차액을 나눠 가졌습니다.

A 씨와 B 씨가 합쳐 약 3억 5천만 원, 함께 범행한 중개보조원은 약 2억 5천만 원의 범죄 수익을 챙긴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이들은 수익금을 고급 수입차 리스, 주식 투자, 유흥비 등에 탕진했으며 범행 이후 피해자들과 연락을 끊고 잠적했습니다.

피해자는 32명, 피해액은 약 81억 원에 달합니다.

경찰은 사촌 형제가 경기도의 한 건축회사 기숙사에서 동거하며 현장 근로자로 일하는 사실을 파악하고 지난 10월 둘 다 기숙사에서 체포했습니다.

임차인 보증보험 사건 개요 예시 (사진=서울경찰청 제공, 연합뉴스)

경찰이 이번에 송치한 51명에는 주택도시보증공사(HUG)를 상대로 사기를 친 세입자 3명도 포함돼 있습니다.

임차인 C 씨 등은 2021년 7∼8월 고의로 보증금을 부풀려 체결한 전세 계약서를 근거로 올해 9월부터 보증보험사에 대위변제를 요청했습니다.

이들은 일부 부동산업자들이 전세 세입자를 구하는 과정에서 '이자 지원비' 등 명목으로 보증 금액 일부를 되돌려준다는 사실을 파악하고 가장 큰 리베이트 금액을 제시하는 업자를 통해 전세 계약을 했습니다.

계약서상의 전세보증금을 임대인에게 입금한 뒤엔 차명 계좌를 통해 약 2천만 원씩의 돈을 돌려받았으나 HUG에는 리베이트 금액이 포함된 계약서 금액대로 보증 이행을 청구했습니다.

임차인 3명이 보증보험사에서 각각 받은 보증금을 더하면 총 8억 2천800만 원입니다.

경찰은 지난해 10월 숨진 김 모 씨 사건과 관련해 공범 수사를 이어가던 중 임차인들의 리베이트 사기 정황을 포착해 이들을 붙잡았습니다.

이 외에도 경찰은 김 씨 사건 등 전세 사기 관련 수사를 통해 공범인 공인중개업자 종사자 45명을 추가로 검거했다고 밝혔습니다.

(사진=서울경찰청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