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주유소 정해 세금 절약?…"비싸거나 몰라" 38%는 안 갔다

<앵커>

정부가 한 정유사와 계약을 맺고 공공기관 차량이 거기서 기름을 넣으면 할인 혜택을 주는, '등록 주유소'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예산을 아끼자는 취지로 이런 제도, 도입하는 거까지는 좋았는데 정작 이 주유소를 한 번도 이용하지 않은 기관들이 수두룩합니다.

원종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지난해 조달청은 경쟁 입찰을 거쳐 한 정유사를 '공공기관 유류 공동구매' 사업자로 신규 선정했습니다.

정유사가 3년간 4억 8천만 L, 약 6천8백억 원 규모의 유류를 공공기관에 공급하는 대신, 공공기관 차량이 해당 정유사 등록 주유소에서 유류구매카드를 이용해 기름을 넣으면 2.88% 할인 혜택과 1.1% 캐시백을 주기로 한 겁니다.

2012년부터 정부가 세금을 아끼겠다며 시행 중인 '공공기관 등록 주유소' 제도인데, 선정된 정유사는 수천억 규모의 안정적 매출을 확보할 수 있고 공공기관 유류 공급사라는 마케팅 효과도 얻을 수 있습니다.

[권인숙/서울 영등포구 : 아무래도 좀 낫겠죠. 뭐라 그럴까 요리를 한다 그럴까 농간을 부린다 그럴까 (하지 않고) 기름도 좀 좋은 거 갖다가 넣을 거고.]

그런데 SBS 취재결과 전체 공공기관의 40%에 이르는 3천533곳이 최근 3년 동안 등록주유소를 한 번도 이용하지 않은 걸로 나타났습니다.

관리 기관인 조달청은 물론, 기재부, 행안부 등 감독 기관의 이용률도 저조합니다.

접근성이 떨어지거나 일반 주유소의 세차 할인 등 혜택이 없고 운전 직원이 주유소를 파악 못하는 경우가 이유로 꼽혔습니다.

500m 옆 주유소보다 기름값이 비싼 데다가, 안내판도 설치돼 있지 않거나 구석에 숨어 있습니다.

[한병도/국회 기획재정위원 (민주당) : 도입 취지인 국가예산 절감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현실입니다. 이용 실적 제고를 위해 운용상 미비점을 점검하고,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습니다.]

조달청은 "사용률이 저조한 기관을 대상으로 주기적인 점검을 통해 등록주유소 이용을 독려하는 등 홍보를 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영상취재 : 양두원·최대웅, 영상편집 : 박진훈)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