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단독] "여보세요?" 눌러도 아무도 오지 않아…'비상벨' 실태

<앵커>

성범죄를 막기 위해서 공중화장실에 반드시 비상벨을 설치하도록 법이 바뀌었습니다. 저희 취재진이 잘되고 있는지 확인해 봤더니 아예 비상벨이 없거나 있어도 작동이 되지 않는 곳이 많았습니다.

이호건 기자가 단독 취재했습니다.

<기자>

수도권 제1순환고속도로에 있는 김포 졸음쉼터.

허가를 받고 공중 여자 화장실에 들어가 설치된 비상벨을 점검해 봤습니다.

원래 버튼을 누르면 경광등이 켜지며 경보음이 울리는 방식인데, 아무리 눌러봐도 반응이 없습니다.

[한국도로공사 관계자 : 저도 한번 눌러보지는 않았는데. 얼마 전에 됐었는데. 안 울려.]

다른 칸도 마찬가지, 모든 비상벨이 먹통입니다.

[한국도로공사 관계자 : 전체적으로 뭐가 이상 있나? 왜 그래? 얼마 전에 그 커버 설치까지 하러 왔었거든요. 오작동이 너무 많이 나서….]

이번에는 공항 공사가 관리하는 김포공항, 화장실 비상벨을 눌러보니 소리는 났지만,

[연결됐나요? 연결됐나요?]

15분 넘게 기다려 봐도 아무도 오지 않았습니다.

비상벨이 관리자 쪽과 연결되지 않아 후속 조치가 없는 겁니다.

공중화장실에 비상벨 설치를 의무화한 법 개정이 된 지 2년이 넘었지만, 현장 관리는 여전히 엉터리입니다.

설치 대수도 턱없이 적어, 화장실 칸 대비 비상벨 수가 고속도로 휴게소는 2천200여 개, 공항은 3천800여 개, 철도역은 700여 개가 모자랍니다.

비상벨은 이렇게 운영하면서 이 기관들은 시설 내 불법촬영 적발 건수는 축소했습니다.

코레일과 도로공사 등이 파악한 지난 5년간 시설 내 불법촬영 적발 건수는 '0'건.

하지만 같은 기간, 같은 장소에 경찰 등이 집계한 불법 촬영 적발 건수는 무려 2천700여 건이나 됩니다.

[김정재/국민의힘 의원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 몰카 범죄 현황을 국토부 통계 시스템에 공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관련 질의에 '해당 사항 없음'이라고 답변한 것은 자신들의 책임을 회피한 겁니다]

이에 대해 코레일 등은 불법촬영 적발 건 누락을 시인하면서, 비상벨 설치를 늘리고 양방향 소통이 가능한 장비로 교체를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영상취재 : 이찬수, 영상편집 : 박지인, CG : 최재영, VJ : 박현우)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