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Pick] 둥근 보름달 뜨는 추석에 왜 '반달 송편' 먹나요?

[Pick] 둥근 보름달 뜨는 추석에 왜 '반달 송편' 먹나요?
민족 대명절, 긴 추석 연휴가 시작됐습니다.

'추석'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음식, 바로 '송편'을 빼놓을 수 없는데요.

멥쌀로 만들어 쫀득하고 말랑한 식감뿐만 아니라 깨, 팥, 녹두 등 다양한 소가 담겨있어 골라먹는 즐거움도 쏠쏠합니다.

옛날에는 송편을 소나무 '송(松)'자에 떡 '병(餠)'자를 써서 '송병'이라고 불렀는데요, 이는 솔잎으로 찐 떡이라는 의미로 우리 조상들은 추석에 송편을 먹으면 소나무처럼 건강해진다고 믿었습니다. (솔잎은 송편끼리 엉겨 붙는 것을 막아 본래 모양을 유지해 주고 떡에 솔잎 향기가 베어들면 맛도 좋아지고 보관도 오래 할 수 있다.)

그리고 시간이 점차 흐르면서 오늘날의 송편이라는 이름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고 전해집니다.

그런데 둥-근 보름달이 뜨는 추석에 먹는 송편이 왜 '반달' 모양인지 아시나요?

오늘은 추석 연휴를 맞아 반달 모양을 갖게 된 송편의 이야기를 들려드릴까 합니다.
 

백제는 보름달이요, 신라는 반달이라

'반달 송편'의 유래는 삼국사기에 쓰인 '백제의 마지막 왕'인 의자왕의 일화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한반도에 고구려, 백제, 신라가 있었던 삼국시대.

당시에도 백성들은 추석이 되면 도란도란 둘러앉아 함께 송편을 빚었다고 하는데요, 이때 송편 모양은 보름달처럼 둥글었다고 합니다.

그러던 656년 6월 어느 깊은 밤.

여느 때와 다름없이 잠을 청하던 의자왕은 그날따라 유난히 쉽사리 잠에 들지 못했다고 합니다.

겨우 선잠에 들었을 무렵, 의자왕의 귓가에 수상한 바람 소리가 들리기 시작했고 갑작스러운 한기로 눈이 떠져 침소에서 나왔더니 시퍼런 도깨비불이 시끄럽게 떠들며 밤하늘을 날아다니고 있었습니다.

정신없이 날아다니던 도깨비불은 "백제는 곧 망한다! 백제는 곧 망한다!"고 크게 외친 후 순식간에 땅속으로 사라지고 말았는데요.

이 말을 들은 의자왕은 심기가 불편해졌고 이튿날 신하들을 불러 도깨비불이 숨어든 땅을 파보라고 시켰습니다.

신하들이 땅을 파자 그곳에서 웬 거북이가 나왔는데, 등껍질에 무언가 쓰여있었습니다.

자세히 들여다보니 '백제는 둥근 달이요, 신라는 반달이라'라는 문구였습니다.

이에 점술가를 불러 그 뜻을 물으니 이렇게 답했다고 합니다.
 
"백제는 이미 꽉 찬 보름달입니다. 그래서 앞으로는 점점 더 작아질 겁니다. 신라는 반달입니다. 그래서 점점 더 큰 나라가 될 겁니다."

점술가의 말을 듣고 격분한 의자왕은 그 자리에서 점술가의 목을 베어버리고 맙니다.

백제는 보름달이요, 신라는 반달이라.

이 같은 이야기가 신라까지 퍼지게 되자 신라 사람들은 반달 모양의 송편을 빚어 먹으며 나라의 번창을 기원했다고 합니다.

이후 백제는 점술가의 말처럼 멸망했고 신라가 삼국 통일을 하자, 후세 사람들 또한 반달 모양의 송편을 만들어 먹게 되었다는 이야기입니다.

반달 송편을 먹으며 달이 차오르듯 자신이 원하는 소원이 이루어지기를 바라는 마음이 아니었을까요.

송편 (사진=게티이미지)

추석 연휴 기간에는 내내 쾌청한 가을날을 만끽할 수 있다고 하는데요, 추석 당일에는 전국에서 구름 사이로 보름달을 감상할 수 있다고 합니다.

사랑하는 이들과 반달 모양 송편 사이좋게 나눠먹으며 소원을 함께 빌어보시는 것도 좋겠습니다.

송편 맛있게 드시고 즐겁고 건강하게, 행복한 추석 연휴 보내시기를 바랍니다.

(사진 및 일러스트=게티이미지, 팡트리)
▼ 우리나라 최초의 달 궤도선 '다누리'가 추석을 맞아 달에서 보내온 지구 사진도 함께 감상해보세요!

"추석 잘 보내세요"…우리나라 최초의 달 궤도선 '다누리'가 보내온 지구 사진. (사진=한국항공우주 연구원 제공)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