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사죄하라" 달걀 테러…'신상 털기' 논란

<앵커>

이런 가운데 숨진 교사에게 민원을 제기한 걸로 지목된 학부모들에 대한 분노가, 사적 보복으로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학부모들이 운영한 걸로 알려진 가게들은 잇따르는 비난에 문을 닫았고 학부모의 신상뿐 아니라 그 가족들의 사진까지 온라인에 공개됐습니다.

이어서 배성재 기자입니다.

<기자>

대전의 한 음식점입니다.

가게 유리창에는 포스트잇이 덕지덕지 붙어 있고 달걀 자국은 말라붙었습니다.

숨진 교사에게 지속적으로 민원을 제기한 것으로 알려진 학부모가 운영하던 곳입니다.
대전, 숨진 교사에 민원 제기한 학부모의 가게 앞에 부서진 설치물들

식당 곳곳에는 살인자, 사죄하라 등의 문구가 적혔고 식당 바깥에 있는 설치물들도 분노한 시민들에 의해 부서졌습니다.

[시민 : 가슴이 떨리고요. 이게 남 일이 아닌 것 같아요. 우리 조카들도 학교에 나가고 있는데, 내 일 같아요. 내 일.]

또 다른 가해 학부모가 운영하는 곳으로 알려진 미용실에도 비난이 빗발치면서 영업이 중단됐습니다.

비판 여론은 온라인에서도 거셉니다.
대전의 숨진 교사에 대한 정서 학대 의견 낸 세이브더칠드런 후원 취소 글

국제아동단체인 세이브더칠드런이 사건 조사과정에서 숨진 교사에 대해 '정서 학대' 의견을 낸 사실이 알려지면서 후원을 취소하겠다는 글이 잇따랐습니다.

한 소셜미디어 계정엔 학부모들의 신상과 전화번호, 가족들 사진까지 무차별적으로 공개됐습니다.

[김용문/대전 서구 : 이분들의 자녀들은 솔직히 죄가 없는 거잖아요. 그런 거는 조금 문제가 있죠. 잘못하지 않은 사람들까지 이렇게 된다는 거는.]

전문가들은 사적 보복행위가 또 다른 피해자를 만들고, 자칫 사법 원칙을 흔들 수도 있다고 우려합니다.

[김원섭/고려대 사회학과 교수 : 재판도 시작이 안 됐고 그 과정에서 자기 마음에 안 든다고 나서는 거는 자기가 세우려던 사회적 정의를 스스로 무너뜨릴 수도 있겠죠.]

국민적 공감대가 큰 사건일수록 분노가 사적제재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은 만큼 철저한 수사 등 국가 차원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영상취재 : 박현철, 영상편집 : 이승희)

▶ "대전 교사 교권보호위 요청 묵살"…"기억 안 난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