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자막뉴스] '임시휴업 선택' 교장의 글 "젊은 교사가 목숨과 바꾼 교권 회복 기회"

서울 서초구 초등학교에서 숨진 교사의 49재 추모일인 다음달 4일.

약 8만여 명의 전국 교사들은 이날을 이른바 '공교육 멈춤의 날'로 두고 집단 연가 방식으로 우회 파업에 나설 것이라 예고했습니다.

이에 정부는 임시 휴업을 강행할 경우 국가공무원법에 따라 최대 파면·해임 징계까지 가능하고 직권남용으로 형사 고발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런 정부의 강경 대응 여파 때문인지 교육부는 어제 오후 4시 기준으로 이날 임시휴업을 결정한 학교가 17개 학교에 그친다고 밝혔습니다.

세종 4곳, 경기 전북 각 3곳, 서울 인천 전남 각 2곳, 강원 1곳으로 집계됐습니다.

이 가운데 자신을 서울에서 임시휴업을 결정한 초등학교 두 곳 중 한 곳의 교장이라고 밝힌 글이 온라인상에 게시됐습니다.

글쓴이는 "공교육 멈춤의 날 참여가 교사들이 하루 놀자는 것도 아니고 교사로써 학생을 위해 제대로 된 교육을 하게 해달라는 요구"를 하기 위해서 라는 일선 교사들의 말이 가슴에 와 닿았다고 썼습니다.

그러면서 교사들의 참여 뜻이 확고했기 때문에 학교 운영위에서 찬반 투표를 거쳐 임시휴업을 실시하게 됐다며 '교원의 집단행동'이 아닌 '학생들의 안전과 정상적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결정이었다고 덧붙였습니다.

또 "교권 회복을 위해 젊은 교사가 목숨과 바꾼 기회"라면서 현재 교사들과 교장이 서로 반목의 상대로 변화하는 것이 안타깝다고도 썼습니다.

실제로 교사들은 집단 행동을 위한 연가 등 사용과 임시 휴업일 지정이 위법 행위라는 교육부의 공문에도 불구하고, 공교육 멈춤에 동참하기 위해 병가를 낼 수 있는 절차 등을 서로 공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교육부와 달리 교사들의 휴업을 지지하는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은 9월 4일을 '공교육 성찰의 날'로 보내면 좋겠다며, 혼란을 막기 위해 교육부 시도교육감 교원단체와 교사가 포함된 4자 협의체를 구성하자고 제안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