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광화문 월대 앞 '상서로운 동물' 찾았다…고 이건희 유족 기증

광화문 월대 앞 '상서로운 동물' 찾았다…고 이건희 유족 기증
▲ 기증품 모습

서울 광화문 앞에 놓인 월대의 가장 앞부분을 장식한 것으로 추정되는 조각이 확인됐습니다.

올해 10월까지 월대 복원 작업을 진행하는 가운데 관련 유물이 발견된 터라 의미가 큽니다.

문화재청은 고 이건희 삼성그룹 선대 회장 유족 측으로부터 상서로운 동물을 형상화한 서수상으로 추정되는 석조각 2점을 기증받았다고 오늘(29일) 밝혔습니다.

유물은 광화문 월대에서 임금이 지나던 길의 맨 앞부분에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월대는 궁궐의 중심 건물인 정전 등 주요 건물에 설치한 넓은 대로, 궁궐 정문에 난간석을 두르고 기단을 쌓은 건 광화문 월대가 유일합니다.

이번에 기증받은 서수상은 길이가 약 2m에 이릅니다.

길게 뻗은 형태로 마치 동물이 엎드려 있는 듯한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2점은 크기나 형태가 거의 비슷하나, 동물 얼굴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조금 차이가 있습니다.

문화재청은 유물 조사와 전문가 자문 등을 진행한 결과, 해당 서수상은 과거 고종(재위 1863∼1907) 대에 월대를 건립하면서 사용한 부재인 것으로 보인다고 판단했습니다.

앞서 광화문 월대를 복원·정비하기 위해 진행한 발굴조사에서는 돌계단 옆면을 마감하는 소맷돌 받침석으로 추정되는 유구(건축 구조 등을 알 수 있는 자취)가 나온 바 있습니다.

이를 서수상의 길이, 너비 등 크기와 비교하면 거의 비슷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광화문 월대 소맷돌 모습을 찍은 사진

문화재청 관계자는 "받침석에 위 부재를 앉히기 위해 가공한 부분의 모양과 크기가 동일하고, 형태와 규격, 양식 등이 사진 자료 등을 통해 확인되는 과거 광화문 월대와 일치한다"고 말했습니다.

궁궐 등 주요 건물에 남아있는 서수상과 비교해도 가치가 높은 편입니다.

문화재청은 조각 양식을 볼 때 경복궁 근정전 월대의 서수상, 광화문의 해치상 등과 유사한 면이 있으며 뿔의 개수나 눈썹, 갈기의 표현 방식 등을 서로 비교해 볼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문화재청은 이건희 회장이 생전에 서수상을 소장했다고 전했습니다.

유물은 그동안 경기 용인시에 있는 호암미술관 야외에 전시돼 있었던 것으로 파악됩니다.

호암미술관은 삼성그룹의 창업주인 고 이병철 회장이 수집한 미술품을 바탕으로 1982년 4월 22일에 개관한 사립 미술관으로, 서수상은 개관했을 당시부터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다만,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월대가 해체되는 과정에서 월대의 맨 앞부분을 장식했던 서수상이 어떻게 삼성가로 가게 되었는지 등은 정확히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고 이건희 회장이 생전에 소장했던 석조각에 대해 유족이 기증 의사를 밝히면서 국립고궁박물관의 절차를 밟아 (기증이) 결정됐다"고만 설명했습니다.

이건희 회장 유족 측은 서수상이 의미 있게 활용되기를 바란다며 기증 뜻을 밝혔습니다.

최응천 문화재청장은 어제 서울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서 비공개로 열린 기증식에서 유족 측에 감사의 의미를 담은 감사장을 수여했습니다.

문화재청은 올해 광화문 월대 복원 작업을 마무리할 예정입니다.

문화재청은 서수상 2점을 보존 처리한 뒤, 월대 해체 이후 경기 구리 동구릉으로 옮겼으리라 추정되는 난간석 등 부재 50여 점과 함께 복원에 활용할 계획입니다.

완성된 월대는 10월 중 기념행사를 열고 공개할 방침입니다.

공개 시점은 10월 14∼18일 열리는 '2023 가을 궁중문화축전' 기간 전후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사진=문화재청 제공, 국사편찬위원회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