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Pick] "자폐 환자, 자해 · 극단적 선택 위험↑…특히 여성이 더 위험"

뇌 생각 (사진=픽사베이)
자폐 스펙트럼 장애(자폐증 · ASD : autism spectrum disorder) 환자는 자해와 극단적 선택 위험이 자폐증이 없는 사람에 비해 현저히 높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습니다.

현지시간 10일 헬스데이 뉴스 보도에 따르면 캐나다 토론토 대학 약물중독 · 정신건강센터 아동 · 청소년 정신건강 연구실의 정신의학 전문의 라이멍촨 박사 연구팀은 자폐 환자가 자해, 극단적 선택 생각 및 시도를 할 위험성이 자폐증이 없는 사람들보다 무려 3배 이상 높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연구팀은 지난 2005년~2020년 사이에 자해한 기록이 있는 약 38만 명과 1993~2018년 사이 극단적 선택을 한 약 33만 5천 명의 의료기록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여성 환자가 남성 환자보다 위험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자해 위험의 경우 여성 환자는 83%, 남성 환자는 47% 높았고, 자살 위험도 여성 환자가 98%로 남성 환자의 34%보다 훨씬 높았습니다.

또 젊은 자폐 환자는 4명 중 1명이 극단적 선택 생각을 하고 8.3%가 극단적 선택을 시도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뿐만 아니라 지난 2021년 미국 컬럼비아대 의대 응급의학 전문의 애슐리 블랑샤르 박사 연구팀이 발표한 연구 결과에 의하면 자폐증 아이들보다 자폐증을 지닌 성인이 조금 더 자해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에 라이멍촨 박사 연구팀은 자폐 환자들에게 정신건강 돌봄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자폐 환자의 마음을 진정시킬 수 있는 장소를 마련해 그들의 대화 방식과 선호하는 것을 이해한 다음 그들의 감각적 욕구에 응해주고 뒷받침해 주는 배려가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연구팀은 이 같은 맞춤형 정신건강 지원과 서비스를 제공하면 자폐 환자들의 자해나 극단적 선택을 상당 부분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같은 연구 결과에 미국 자폐 장애 과학 재단(ASF) 연구실장 알리시아 할라데이 박사는 자폐증은 이처럼 생명을 위협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 질환인 만큼 자폐 환자들에 대한 보다 큰 배려가 필요하다고 전했습니다.

특히 자폐증을 가진 소녀는 증상을 감출 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마치 자페 장애아가 아닌 것처럼 행동한다면서 이것이 그들의 일상생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고 지적했습니다.

자폐증은 아동기에 사회적 상호작용의 장애, 언어성 및 비언어성 의사소통의 장애, 상동적인 행동(반복 행동), 관심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발달장애로 대개는 3세 이전에 다른 또래들과의 발달상의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자폐증 발병에 대한 명확한 원인은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았는데 치료제 또한 자폐증의 핵심 증상에 대한 약물 치료가 아닌 공존 문제행동에 대한 대증적 약물치료(원인이 아닌 증세에 대해서만 실시하는 치료법)에 국한돼 있는 상황입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 의사 협회 네트워크 오픈(JAMA Network Open)에 실렸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