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Pick] '나도 진상 학부모?' 본 교사들의 반응…"익숙하다"

[Pick] '나도 진상 학부모?' 본 교사들의 반응…"익숙하다"
잇따른 교권 침해 논란으로 인해 '진상 부모 체크리스트'가 등장한 가운데, 일부 교사들은 이러한 사례에 대해 '익숙하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습니다.

최근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진상 부모 체크리스트'와 '진상 부모 단골 멘트'라는 2개의 점검표가 화제가 됐습니다.

'혹시 나도 진상 부모? 나 정도면 젠틀한 거 아닌가?'라는 문구와 함께 작성된 '진상 부모 단골 멘트' 리스트에는 ▲애 아빠가 화나서 뛰어온다는 걸 말렸어요 ▲선생님이 착하셔서 안 무서워서 그런가 봐요 ▲우리 아이 얘기는 들어보셨나요? ▲늦은 밤에 연락드려서 죄송하지만 등의 예시 멘트가 게시되어 있습니다.

해당 리스트 하단에는 '※ 모든 문구는 실제 상황에 기반합니다'라는 문구도 덧붙여져 있습니다.

'내가 손가락질했던 진상 부모가 알고 보니 나였다고?'라는 문구와 함께 작성된 '진상 부모 체크리스트'에는 ▲개인 연락처를 안 알려 주는 선생님은 애정이 없다 ▲정말 급할 때는 늦은 시각에 연락할 수도 있다 ▲애 안 낳고 안 키워 본 사람은 부모 심정을 모른다 ▲젊은 여교사들은 애들이 만만하게 봐서 잘 못 휘어잡는다 ▲우리 애가 잘못했지만 이유가 있을 수 있다 등의 11개 항목이 제시되어 있었습니다.

이를 본 일부 학부모들은 "진상 학부모가 일부라고 생각했는데 이런 것들도 포함된다니 놀랍다", "조심해야겠다"는 등의 반응을 보였지만, 일각에서는 "교권이 추락한 게 오직 학부모 탓은 아니다", "서로의 권리가 존중받는 사회가 되어야 한다"며 교권 침해가 학부모의 자성만으로는 해결될 수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해당 리스트가 온라인상에서 화제가 되자, 당사자인 교사들은 "현장에서는 익숙하다"는 반응을 보여 안타까움을 더했습니다.

김희성 서울교사노조 부대변인은 지난 25일 YTN '뉴스라이더' 인터뷰에서 "체크리스트에서 볼 수 있듯 (교사의 개인) 휴대전화번호를 요구하고, 새벽이나 주말까지도 빈번하게 연락하는 분들이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이 같은 반응은 온라인에서도 찾아볼 수 있었습니다.

직장인 커뮤니티 '블라인드'에서 자신을 교사라고 밝힌 A 씨는 "모든 멘트를 다 들어봤다. 웃프다(웃기고 슬프다)"라고 적었습니다.

자신을 교사라고 밝힌 일부 누리꾼들 또한 제시된 '진상 학부모 체크리스트'에서 몇 개의 발언을 들어봤는지 밝히는가 하면, 제시된 말들 외에 겪어봤던 '진상 학부모' 사례를 공유하기도 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경북도교육청은 '교권 보호 긴급 지원단'을 꾸리고 전북도교육청은 교육지원센터 내에 '교원치유센터'를 두고 관련 프로그램을 운영하기로 하는 등, 전국 17개 시도 교육청은 교육권을 훼손하는 일부 학부모의 악성 민원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로 했습니다.

(사진=온라인 커뮤니티 '군산맘카페')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