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빈틈없이 막거나 일부러 모으거나…극과 극 폭우 대비법

<앵커>

작년에 폭우가 내리는데도 빗물을 완벽히 막은 강남역의 한 건물 기억하실 겁니다.

작년에 비피해를 많이 봤던 곳들에서는 이런 사례에서 힌트를 얻어 대비책을 철저히 세웠다고 하는데, 그 현장을 이강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지난해 9월 태풍 힌남노 때 내린 비로 경북 포항 냉천이 범람했습니다.

바로 옆 포항제철로 물이 쏟아져 들어갔고 공장 절반이 물에 잠겨 가동을 멈췄습니다.

49년 만에 처음 벌어진 일이었습니다.

제철소 측은 지난해 말부터 물이 들어온 쪽에 차수벽을 쌓았습니다.

[공륜호/포스코 구매투자본부 과장 : 당시에 현장 조사를 했었고요. 그때 약 1.5~1.7m 정도의 침수흔적을 확인했습니다. 안전율을 고려해서 (높이) 2m까지 차수벽을 설치했습니다.]

연인원 1만 2천 명이 휴일 없이 쌓아 반년 만에 완성했는데, 높이 2m, 길이는 1천900m에 달합니다.

우리나라 최대 규모입니다.

이 콘크리트 벽이 그냥 벽이 아니라 물을 막기 위한 벽이라서 물이 새지 않도록 해야 되는데 그러려면 다른 공장에서 정밀하게 만든 다음에 이곳으로 옮겨야 한다고 합니다.

통행을 위해 중간중간 문을 만들었고 길이 30m 무게 30톤의 강철문이 물막이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위로 부양해 슬라이드식으로 닫힌 뒤 다시 고정되는 최첨단 방식입니다.

범람했던 냉천 제방에는 강철 심 4천 개를 촘촘하게 박아놨습니다.

[임기대/포항제철소 토건설비기술부 팀장 : (이렇게까지 할 필요가 있나라는 생각이 드는데?) 누가 보면 과한 게 아닌가 싶을 정도로 그래도 어떤 초재난 상황에서도 우리 설비를 지킬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이렇게까지 설치를 해놨습니다.]

내부 시설뿐만 아니라 주변 지역을 위한 차수문도 있습니다.

지난해 115년 만의 폭우로 물에 잠겼던 서울 고속버스터미널 옆 복합 상가.

주차장 초입에 스윙방식으로는 서울에서 가장 큰 차수문이 설치됐습니다.

주변보다 지대가 낮은 이곳의 특성을 살려 물이 흘러들면 상가는 보호하고 주차장에 물을 가둬놓는 구조입니다.

[장우석/신세계 센트럴시티 시설관리팀장 : 처음에는 저희도 주차장을 전부 막아서 물을 완전히 막는 방법을 고려하지 않은 건 아닙니다. 근데 그렇게 막아버리면 옆에 경부선 터미널, 반포로까지 수해 피해가 넘어가기 때문에 매장은 일차적으로 보호를 하되 주차장 시설은 수조역할을 해서 주변 수해 방지에 도움이 되고자 노력했습니다.]

담을 수 있는 빗물이 최대 2만 2천 톤입니다.

[정창삼/인덕대학교 스마트방재학과 교수 : 피크(강수량 최고점)에서 약 2만 톤을 잡아줄 수 있다. 우수 저류조를 하나 만드는 데 수백억 원 비용이 발생하거든요. 그런데 민간 시설에서 비가 왔을 때 저류조 역할을 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준다는 건 굉장히 좋은 사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실패를 딛고 마련한 방재 시설이 효과를 거둘 수 있을지 준비한 이들은 긴장을 늦추지 않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양현철, 영상편집 : 이홍명, CG : 성재은·권혜민)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