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파업발 대란 없었지만…일부 병원은 "퇴원 앞당기세요"

<앵커>

그렇다면 파업이 진행된 의료기관들은 어땠는지 저희가 모두 6곳을 살펴봤더니, 다행히 심각한 의료공백은 없었습니다. 하지만 일부 병원에서는 원치 않는 퇴원을 하거나 수술이 미뤄진 환자들도 있었습니다.

이어서 신용식 기자입니다.

<기자>

서울의 한 대학병원 외래 진료 대기실.

파업에 참여한 간호사의 자리는 동료가 메웠습니다.

[간호사 : 다른 데서 많이 지원도 해주시고 인력 부족 없이 지금 일하고 있는 것 같아요.]

파업에 대비해 진료 일정을 앞당기거나 조정한 것도 혼란을 줄였습니다.

[김승범/신경외과 전문의 : 월요일 날 미리 외래를 좀 한 반 정도를 상당 부분을 미리 봐서 일단은 큰 위험이나 이런 걸 좀 막을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수도권의 다른 대학병원도 진료에 큰 차질은 없었습니다.

[A 씨/환자 보호자 : 3시 입원이라서 좀 일찍 왔어요. (파업) 조금 염려했었는데 전혀 지장 없이 지금 진행되고 있어요.]

그러나 일부 병원에서는 우려했던 의료 공백이 가시화됐습니다.

입원 환자 1천여 명을 내보낸 부산대병원에는 중환자 등 250명만 남았습니다.

[B 씨/환자 보호자 : (입원 환자가) 조카인데 사고가 크게 나서…. (다른 병원을 급하게 가셔야겠네요?) 가야죠. 나가라고 하니깐 가야죠.]

전북대 병원에서도 환자 퇴원을 앞당기거나 대기 시간이 길어지는 등 일부 차질이 빚어졌습니다.

[C 씨/산모 보호자 : 무통주사도 다 안 들어갔는데 그걸 빼고, 어제저녁 8시에 그것도 퇴원을 하라는 거잖아요.]

국립암센터는 노조원 대다수가 복귀하기로 해 내일부터 진료가 정상화되지만, 이미 취소된 120건의 암 수술 일정을 새로 잡아야 합니다.

암센터 서홍관 원장은 SNS에 "입원환자가 500명인데, 230명까지 줄여야 했다"고 밝혀, 수술 취소 건에 더해, 암 환자 270명이 원치 않는 퇴원을 한 걸로 파악됐습니다.

국립중앙의료원은 소방청에 응급 환자 이송을 자제해 달라는 공문을 보냈다가 논란이 되자 뒤늦게 철회하기도 했습니다.

(영상취재 : 김용우·박영준 KNN·유지영 JTV, 영상편집 : 박기덕, 그래픽 : 최재영)

▶ 정부와 강대강 대치…보건의료노조 총파업 쟁점은
▶ 19년만 보건의료노조 총파업…"업무개시명령도 검토"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