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삼성전자 14년 만 최악 실적…하반기 전망은?

<앵커>

삼성전자가 지난 2분기에 6천억 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습니다. 2009년 1분기 이후 가장 낮은 수준입니다.

반도체 불황 속에 스마트폰 판매도 부진했기 때문인데, 올 하반기에는 어떨지 김관진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기자>

삼성전자의 올 2분기 영업이익은 6천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95.7% 감소했습니다.

2009년 1분기 이후 14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입니다.

매출도 60조 원으로 22% 감소했습니다.

예상보다 더 부진한 실적 실망감에 오늘(7일) 삼성전자 주가는 42일 만에 7만 원 선이 무너졌습니다.

반도체 부문이 3~4조 원 대 적자를 기록했고, 스마트폰 판매 부진까지 더해졌습니다.

[김양팽/산업연구원 전문연구원 : 아직은 (반도체) 수요 시장이 활성화되지 않았기 때문에 지금 바닥인 건 맞는데, 그렇다고 해서 반등할 수 있을 것 같지는 않다….]

경기침체가 길어지면서 전반적인 IT 수요가 살아나지 않고, 공급 과잉도 좀처럼 해소되지 않아 반도체 불황의 골이 여전히 깊은 상황입니다.

인위적 메모리 감산은 없다며 버티다 결국 지난 1분기 감산을 공식화했는데, 하반기가 돼야 감산 효과가 나타날 것이란 전망입니다.

AI 수요가 가세할 경우엔 실적 개선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김정호/카이스트 전기 및 전자공학부 교수 : 'HBM'이라고 인공지능에 들어가는 메모리가 있는데, 삼성전자의 매출액이 고급 제품 중심으로 하반기에 더 오르지 않겠나….]

가전과 전장 사업에서 강세를 보이며 LG전자의 2분기 영업이익은 8천900억 원으로, 1분기에 이어 또다시 삼성전자를 앞질렀습니다.

국내 주요 기업들의 하반기 실적은 세계 각국의 경기 상황과 미·중 갈등 등이 변수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최근 중국의 갈륨과 게르마늄 수출 규제와 관련해 업계는 단기적 영향은 제한적이지만, 다른 품목으로 확대될 가능성 등을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

(영상편집 : 김병직)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