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빚 독촉에 피 마른다"…'추심 유예' 진정서 수용될까

<앵커>

이번 사태로 큰 피해를 본 투자자들이 증권사의 채권추심을 막아달라며 진정서를 냈습니다. 이게 주가 조작이라는 걸 알고 있었던 일부 고액 투자자들과는 달리, 자신들은 사기 피해자라고 주장하고 있는데, 당국은 받아들이기 어렵단 입장입니다.

화강윤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주가 폭락 사태 이후 A 씨는 매일 빚 독촉 문자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주식계좌 잔고는 마이너스 9억 원, 증권사는 당장 돈을 갚지 않으면 연체이자 9.7%, 24만 원이 매일 붙는다, 채권추심 업체에 넘길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키움증권 미수채권안내 문자

[투자자 A 씨 : 막막하고 어떻게 해야 될지 고민이 너무 큽니다. 어떻게든 방법을 강구할 시간이라도 좀 줬으면 좋겠는데, 너무 몰아붙이는 건 아닌지.]

A 씨 같은 투자자들이 모인 SNS 단체 대화방에선 빚 독촉으로 "피가 마른다"는 호소가 이어졌고, 투자자 60여 명은 오늘(4일) 채권 추심의 석 달 유예와 해당 기간 이자 면제를 증권사들에 권고해달라며 금융위원회에 진정서를 냈습니다.

불법을 인식하고 투자했던 일부 고액 투자자들과 달리 사전에 빚을 내서 거래하는 걸 모르는 등 라덕연 대표와 일당에게 속았다고 주장했습니다.

[공형진/투자자 측 대리인 : (주가조작을) 인식을 한 자들은 당연히 공범으로 처벌받아야죠. 근데 저희가 맡아서 진행하시는 피해자들은 통정매매에 대한 인식도 없었고….]

투자자들의 이런 요구에 대해 금융위원회는 원칙적으로 개별 주식상품 거래에서 발생한 손실에 당국이 개입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는 입장입니다.

SBS의 투자설명회 음성 녹취 보도 이후, 투자 당시 불법 정황을 인식했던 일부 투자자는 로펌 등에 형사처벌 가능성을 문의하는 걸로 알려졌습니다.

이런 가운데 검찰은 어젯밤부터 오늘까지 라덕연 대표 사무실과 지인 주거지 등에 대한 추가 압수수색을 벌였습니다.

(영상취재 :박영일·황인석·하 륭, 영상편집 : 전민규)

▶ 김익래 다우키움 회장 사과…"사퇴하고 매각대금 환원"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