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5·18 계엄군도 피해자"…지역사회 반발 산 '반쪽' 선언

<앵커>

일부 5·18단체가 특전사동지회와 함께 '광주에 투입됐던 계엄군도 피해자'라는 내용이 담긴 공동선언식을 개최했습니다. 하지만 지역사회의 거센 반발로 행사 규모는 대폭 축소됐고, 5·18묘지 참배도 기습적으로 이뤄졌습니다.

KBC 조윤정 기자입니다.

<기자>

[계엄군은 물러가라! 물러가라!]

시민단체 회원들이 5·18기념문화센터 입구에 드러누워 구호를 제창합니다.

지역사회 반발 속 5월단체·특전사 합동 참배 강행

150여 명의 특전사동지회 회원들이 행사장에 모습을 드러내자 분위기는 더욱 험악해지고, 격한 몸싸움까지 벌어집니다.

지역사회 반발 속 5월단체·특전사 합동 참배 강행

일부 5·18단체와 특전사동지회가 함께 주최한 '대국민 공동선언식'이 논란 속에 개최됐습니다.

이들은 광주에 투입됐던 계엄군들이 가해자가 아닌 '피해자'라며 법적·제도적 지원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황일봉/5·18부상자회 회장 : 국가의 명령에 살고 명령에 죽는 군인들이었습니다. 다시 한번 가슴의 울림으로 회한에 숨죽여 울었던 군인들을 품어줘야 할 때입니다.]

또, 80년 5월 당시 상부의 명을 받고 현지에 파견된 특전사 선배들의 노고가 왜곡되어서는 안 된다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지역 시민단체는 특전사회가 자신들의 과오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며 비판의 목소리를 냈습니다.

[김형미/오월어머니집 관장 : 피해자로 인정을 해요? 그러면 우리가 가해자입니까? 광주시민이 가해자입니까? 그들을 피해자로 인정해주면, 결국 머지않아 그들은 우리를 가해자로 몰고 갈 것입니다.]

이러한 지역사회 반발 속에서 특전사회는 5·18국립묘지 참배 일정을 당초 예고했던 시간보다 4시간 앞당겨 기습적으로 진행했습니다.

'화해와 포용, 감사'라는 제목 아래 진행된 이번 공동선언식은 갈등과 분열만 남긴 반쪽짜리 행사가 됐습니다.

(영상취재 : 김영휘 KBC)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