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전국이 꽁꽁 얼어붙은 가운데, 크게 오른 난방비 부담에 당황스럽고 화가 난다는 분들이 많습니다.
가스공사 측은 적자 규모가 9조 원까지 늘어나 추가 요금 인상도 불가피하다는 입장인데, 왜 이렇게 적자가 심각한지, 급격한 요금 인상 말고는 답이 없는 것인지, 정준호 기자의 리포트 보시고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기자>
서울 강서구의 한 순댓국 식당.
국을 끓이고 조리하는 데 늘 가스를 써야 하지만, 불을 켤 때마다 마음이 편치 않습니다.
지난해 12월 22만 원대였던 가스 요금은 1년 새 38만 원으로 70% 이상 올랐습니다.
[홍정란/순대국 식당 사장 : 30만 원 넘을 때도 놀랐죠. 이런 적 없었는데. 그런데 그다음에 또 30만 원 더 넘더라고요.]
음식 장사하는 자영업자들이 직격탄을 맞았습니다.
[공경호/반찬가게 사장 : 거의 2배 정도는 올랐다고 봐야죠. 무턱대고 가스비 오른다고 수입(비용)이 오른다고 같이 올려버리면 우리같이 장사하는 사람들은 타격이 엄청 크죠.]
최근 강추위에 난방 수요는 더 크게 늘었기 때문에 다음 달 고지되는 난방비 부담은 더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난방비 급등의 배경은 가스공사의 적자 때문입니다.
가스 요금은 2020년 7월 이후 지난해 4월까지 물가를 고려해 20개월 동안 동결됐습니다.
가스공사는 이미 2021년 말 1조 8천억 원대의 미수금, 쉽게 말해 적자를 기록했는데,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이 발발하면서 지난해 국제 LNG 가격이 2배 이상 급등한 것이 악재로 작용했습니다.
급하게 지난해 4차례에 걸쳐 가스요금을 1MJ(메가줄)당 5.47원, 약 38%를 올렸는데도 미수금은 지난해 말 기준 약 9조 원까지 불어났습니다.
향후 경영 정상화를 위해 추가 요금 인상이 필요하다는 것이 가스공사의 주장입니다.
당장 LNG를 구매하고 관련 설비를 운영하려면 자금이 필요한데, 적자가 심하면 대출이나 채권 발행 시 더 불리한 조건으로 계약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정부는 2분기에 가스 요금을 추가로 올릴 예정인데, 가스공사는 올해 1MJ(메가줄)당 최소 10원 인상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박현철, 영상편집 : 최혜영)
---
<앵커>
Q. 가스 요금 앞으로 더 올린다?
[정준호 기자 : 최근 전기 요금이 이미 올랐고 또 지하철, 버스, 택시 요금 추가 인상이 예고된 것처럼 공공요금은 그야말로 줄인상입니다. 이러다 보니 공기업이니까 좀 적자를 감내할 수 있지 않겠냐는 말도 나오는 것인데요. 일단 취재해보니 가스공사의 적자 해소도 시급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입니다. 원료를 국제 시장에서 사오는 만큼 가스공사의 신용도를 높여야 그만큼 비용을 떨어뜨릴 수 있는 부분이 있고 또 폭탄 돌리기처럼 적자를 계속 쌓는 것도 결코 좋은 신호는 아니기 때문입니다.]
Q. 속도 조절 필요?
[정준호 기자 : 지금 현재 LNG 가격은 전쟁이 한창이던 작년 최고점에 비해서는 절반 이하로 내려갔습니다. 앞으로 원료 구매 비용이 줄어든다는 이야기인데, 물론 장기 계약을 하기 때문에 바로 원자재 가격이 반영되기는 어려운 구조입니다. 하지만 서민 경제와 직결된 문제인 만큼 원료 수급 여건을 봐가면서 올 하반기 이후로 요금 인상 속도를 조절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습니다.]
Q. 취약계층 대비책은?
[정준호 기자 : 취약계층의 에너지 비용을 지원해주는 에너지 바우처라는 것이 있습니다. 점점 금액을 늘려가고는 있는데 겨울에는 가구당 평균 15만 2천 원 정도입니다. 이 정도면 요즘 같은 경우 4인 가구 기준으로는 한 달 난방비로도 모자라는 수준입니다. 가스공사도 이번 달부터는 취약계층의 요금 할인 폭을 올리기는 했지만 많아야 월 1만 원 정도 더 혜택을 받는 것입니다. 취약계층에 대한 실효적인 지원책이 마련되어야 요금 인상에 대한 저항도 낮출 수 있을 것입니다.]
▶ 난방비 대란에 다시 나오는 횡재세 논란…도입 가능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