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경찰이 의료진 막아 진입 못한다"…참사 당시 대화 입수

<앵커>

저희가 이태원 참사 당일 보건복지부와 소방청, 응급 의료기관 관계자들의 모바일 상황실 대화 내용을 입수했습니다. 당시 재해의료지원팀에게 출동 장소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거나, 경찰이 의료진을 통제해 현장 진입이 지체된 정황이 고스란히 담겨 있었습니다.

강민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정부가 재난 발생 시 응급 의료진들에게 상황을 전파하고 의료활동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만든 카카오톡 단체 대화방입니다.

'모바일 상황실'로 불리는 이 대화방의 지난달 29일 이태원 참사 당시 대화 내용입니다.

상황 발생 초기, '사람들 15명 이상 쓰러져 있는 상황', 'DMAT 신속대응반을 요청한다', '병상 정보를 요청한다'는 내용이 잇따라 전파됐습니다.

그런데 각 병원의 신속대응반이 참사 현장 근처에 도착했을 때는 현장 접근이 어렵다는 보고가 올라옵니다.

의료진 조끼를 입은 지원센터 인력을 경찰이 자꾸 통제해서 현장 진입이 안 된다고 한다, 신속대응반, 지원센터 모두 현장 진입을 못했다는 내용에 이어, 이런 식이면 저희 DMAT 출동 못 시킨다, 자꾸 이러면 저희 다 철수한다는 항의까지 터져 나옵니다.

또 어렵게 현장에 도착했어도, '통제 중이라 차량 헤밀톤호텔 앞이다. 어디로 가면 되나', DMAT이 도착했지만 CP(휴대전화) 연결이 안 된다는 호소가 나오는 등 재난 상황을 조율해야 할 컨트롤타워가 부재한 모습도 확인됩니다.

[신현영/민주당 의원 : 모든 의료 자원을 다 투입해야 하는 급박한 상황인데, 의료진조차 진입을 못한 지옥이 펼쳐졌습니다.]

현장 의료진 진입을 통제했다는 데 대해 경찰은 해당 부서에서 정확히 어떤 상황이었는지 사실관계를 파악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