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딸 사망 확인한 유족…"어떡해, 어떡해" 주저앉아 오열

<앵커>

사고 직후 연락이 끊긴 가족을 찾기 위해 실종자 가족들은 밤새 이태원 거리와 병원을 돌아다녀야 했습니다. 실종 접수 센터가 마련된 한남동 주민센터와 사상자가 이송된 병원에선 비통한 울음소리가 가득했습니다.

김보미 기자입니다.

<기자>

사고 직후 응급실로 이송됐단 연락을 받고 급히 병원을 찾은 가족들.

사망자 신원을 확인한 순간, 그대로 바닥에 주저앉습니다.

[어떡해. (얼굴을 확인해야 돼요.) 어떡해….]

성인이 되고 나서 처음 맞는 핼러윈 데이에 남자친구와 함께 이태원에 나섰던 딸, 밤늦게 걸려온 남자친구의 울먹이는 전화를 받고 현장에 뛰어나갔지만, 딸을 찾는 건 불가능했습니다.

[실종자 가족 : (사고현장에) 막상 가니까 안 들여 보내주는 거지. 남자친구만 들여 보내주고, 부모가 확인을 해야지. 안된다는 거예요.]

날이 밝았는데도 딸의 시신이 어디에 이송됐는지 찾지 못해 서울 병원 곳곳을 돌아다녀야 했습니다.

[실종자 가족 : 목동 이대병원도 가고… 지금 뭐 여기저기 돌아다니는데 아무 소득이 없어요.]

한남동 주민센터에 마련된 실종자 접수 대기실에서 뜬눈으로 밤을 지새운 가족들.

사망 확인 통보에 그대로 오열했습니다.

[실종자 가족 : 압사사고가 뭐야 세상에 어떻게 이런 일이 있어. 이제 열심히 공부하고 다 끝났는데….]

외국인들은 실종자를 찾는데 더욱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호주에서 함께 여행 온 친구가 안타까운 희생을 당한 걸 현장에서 확인했지만, 이후 시신이 어디로 옮겨졌는지 알 수가 없었습니다.

실종 신고센터와 영사관은 모른다는 답변만 계속했고, 결국, 병원 영안실을 일일이 돌아다닐 수밖에 없었습니다.

[실종자 지인 : 영사관도 도와줄 수 없었어요. 그들도 제 친구가 어디 있는지 몰랐어요. 가족은 호주에 있고…. 아무도 제 친구가 누구인지 모르고, 아무도 저를 도와줄 것 같지 않아 보여요.]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