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문 정부 도입된 블라인드 채용…"연구기관서 폐지" 왜

<앵커>

윤석열 대통령이 문재인 정부 때 도입된 국책 연구기관의 블라인드 채용을 전면 폐지하라고 지시했습니다. 과학기술 발전을 가로막는 규제라는 건데, 채용 불공정을 우려하는 반론도 만만치 않습니다.

보도에 김기태 기자입니다.

<기자>

문재인 정부는 2017년 7월, 공공기관 등에 블라인드 채용을 의무화했습니다.

이후 350개 공공기관은 지원자의 신원이나 배경을 알 수 없는 상태에서 채용을 진행했습니다.

'공정한 채용'을 하겠다는 취지였지만 학계와 과학기술계를 중심으로 우수 연구자 확보가 어렵다는 지적이 이어졌습니다.

[국책 연구기관 인사담당자 : 본인 실적을 드러내려고 하거든요, 보통 외국에서 채용하는 과정을 보면…국내에는 블라인드 기준이 있으니까 그런 식으로 쓰면 쓰는 순간 다 탈락하는 거죠.]

국가보안시설인 한국원자력연구원의 2019년 채용에서는 블라인드 채용을 통해 중국 국적자가 최종 면접까지 통과했다가 이후 불합격 처리되는 일까지 발생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은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를 주재하면서 국책 연구기관의 블라인드 채용 폐지를 지시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 : 최근 몇 년 동안 우수 연구자 확보를 가로막았던 공공기관 블라인드 채용은 연구기관에 대해서 우선적으로 전면 폐지하겠습니다.]

윤 대통령은 "과학기술 발전을 가로막는 어떠한 규제도 정치적 이유로 정당화될 수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우선은 국책 연구기관이 폐지 대상이지만, 향후 공공기관 전체로 확대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지난 정부에 제도 도입을 요구했던 단체들은 불공정이 심화할 거라며 반발했습니다.

[전선희/시민단체 교육의봄 연구팀장 : 블라인드 채용을 폐지한다고 하면, 결국 편견을 일으킬 수 있는 여러 배경적 요소들이 다시 반영돼서 평가가 왜곡될 수 있는 문제가 있습니다.]

정부 지침을 개정하면 법을 바꾸지 않고도 곧바로 시행할 수 있습니다.

(영상취재 : 주 범, 이용한 영상편집 : 최은진)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