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단독] 지구서 가장 추운 남극…8.8℃로 역대 가장 따뜻했다

<앵커>

지구에서 가장 추운 곳인 남극은 3월에 보통 기온이 영하 10도 아래로 떨어지면서, 강추위가 시작됩니다. 그런데 올해는 역대 가장 높은 우리 초봄 날씨와 비슷한 영상 8.8도까지 올라갔습니다.

남극에 있는 우리 장보고 기지가 확인한 기상 이변까지 정구희 기자가 단독으로 전해드립니다.

<기자>

지난달 15일, 남극 동부에 콩거 빙붕이 무너져 내렸습니다.

서울의 2배 크기 만년 얼음 덩어리가 산산조각 난 겁니다.

[캐서린 워커/미국 우즈홀 해양학 연구소 : 2000년부터 얼음이 줄어들긴 했지만, 많이 줄진 않았습니다. 하지만 2020년부터는 몇 달 간격으로 눈에 띄게 크기가 줄고 있었습니다.]

남극 동부에 있는 우리 장보고 과학기지도 기상이변을 관측했습니다.

남극의 3월은 온 땅이 얼어붙어야 정상인데, 바닥이 흙과 돌투성이가 됐습니다.

[김현일/장보고기지 월동 대원 : (대원들도) 올해 유난히 눈이 없다고 얘기하더라고요. 눈이 날려야 하는데 날릴 눈이 없다 보니까 작은 돌멩이들이 날아다녀서 차량 2대 유리가 파손될 정도였습니다.]

3월 17일, 기온이 영상 4.2도에 이르더니 다음 날에는 역대 최고인 8.8도까지 올랐고, 그 다음 날까지 사흘 연속 고온 현상이 이어졌습니다.

우리와 기후가 반대인 남극은 3월부터 기온이 급격히 떨어져 평균 기온이 영하 14.2도였습니다.

역대 최고 기온도 영하 0.2도로 영상으로 올라온 적이 없었습니다.

[최태진/극지연구소 대기연구본부 책임연구원 : 기존에 우리가 알고 있던 연중 패턴이랑 전혀 다른 특이한 현상이 나타났다는 것이고요. 따뜻한 공기가 남극 육상의 얼음을 녹일 수 있는 원인이 되겠죠.]

장보고기지가 있는 동남극은 세종기지가 있는 서남극에 비해 고도가 높고, 남극점에 더 가까워 극한의 추위가 이어지고 얼음양도 더 많습니다.

동남극의 얼음이 녹으면 해수면을 더 빨리 높이기 때문에 위기의 심각성이 그만큼 커지는 거라고 전문가들은 말합니다.

(영상취재 : 정성화, 영상편집 : 전민규)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