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아이폰 불매 경고' 아이폰으로 올린 중국 대변인

아이폰으로 '아이폰 불매 경고' 올린 자오리젠 대변인

미국이 중국의 대표 소셜 앱인 위챗(한국의 카카오톡과 비슷)을 금지한다면 중국도 애플 아이폰을 쓰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한 중국 외교부 대변인이, 이런 경고를 아이폰으로 올린 것으로 드러나 중국 여론의 비판을 받았습니다.

외교관이 좀처럼 입에 올리지 않는 강경한 대외 발언을 서슴지 않아 '싸움닭'이라는 별명이 있는 자오리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지난 27일 정례 브리핑에서 "만일 미국이 진짜로 위챗을 금지한다면 우리도 애플 스마트폰을 쓰지 않을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자오 대변인은 28일 새벽 1시 이 발언을 자신의 트위터 계정에도 올렸습니다.

그런데 이 트윗의 끝에는 'Twitter for iPhone'이라는 표시가 되어 있었습니다.

자오 대변인이 아이폰을 쓰고 있음이 드러난 겁니다.

대만 중앙통신사는 중국 누리꾼들이 자오 대변인의 아이폰 사용 사실에 새삼 주목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사실 자오 대변인은 오래전부터 아이폰으로 트위터에 각종 글과 사진, 영상을 올렸습니다.

그런데 공교롭게도 이번에 그가 애플 불매 운동이 벌어질 수 있다고 경고하면서 그의 애플 제품 사용 사실이 새삼스럽게 대중의 주목을 받게 된 겁니다.

일부 중국 누리꾼들은 외교부 대변인이 첨예한 미중 갈등 와중에 스스로 아이폰을 쓰면서 불매 운동을 거론하는 것이 적절치 않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습니다.

한 중국 누리꾼은 "입으로는 중국인들에게 아이폰을 쓰지 말자고 하면서 자기는 애플 스마트폰으로 트윗을 하는가"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대미 강경 대응을 외치던 중국 공직자가 아이폰을 사용하는 것으로 대중의 눈총을 받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닙니다.

'중국 공산당의 비공식 대변인' 노릇을 하는 환구시보 후시진 총편집인은 멍완저우 화웨이 부회장이 미국의 요구로 캐나다에서 체포돼 반미 감정이 들끓던 2018년 12월, 아이폰으로 웨이보(微博·중국판 트위터)를 한다는 이유로 대중들에게 혹독한 비판을 받았습니다.

10년 가까이 아이폰을 썼다던 그는 몇 달이 지나고 나서 결국 '애국 소비'를 상징하는 화웨이 스마트폰으로 갈아탔습니다.

(사진=트위터 캡처,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