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선별진료소서 발길 돌린 의심 환자, 3명 감염 시켜

선별진료소서 발길 돌린 의심 환자, 3명 감염 시켜
▲ 코로나19 확진자가 나와 응급실 폐쇄한 충남대병원

대전의 한 코로나19 확진자가 확진 나흘 전 의심 증세로 선별진료소를 찾았으나 검사를 받지 못하는 바람에 지역 내 감염이 확산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30일 대전시 등 방역당국에 따르면 대전 110번 확진자 A(서구 50대 남성) 씨는 발열 등 증세를 보인 지난 23일 오후 4시쯤 서구보건소 선별진료소를 찾았으나 검사를 받지 못했습니다.

당시는 다른 확진자가 방문한 장소에 들른 시민들에 대해 전수검사가 진행되던 때였습니다.

뷔페나 결혼식장 등 방문객 수백 명이 예약 검사를 받는 상황이라 예약하지 않은 A 씨는 검사를 받을 수 없었습니다.

발길을 돌릴 수밖에 없었던 A 씨는 이튿날인 24일 오전 동네의원에서 몸살약 처방을 받고 일상생활을 했습니다.

같은 날 오후 지인과 저녁 식사도 함께했습니다.

하지만 A 씨는 선별진료소 방문 사흘 뒤인 26일 오후 다시 동네의원을 찾았다가 결국 119구급차에 실려 충남대병원으로 옮겨졌습니다.

충남대병원 도착 당시 그의 체온은 섭씨 39도였습니다.

그는 27일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습니다.

그의 아내와 아들(108·109번 확진자)도 전날 확진됐고, 이들의 확진과 동시에 충남대병원 응급실은 폐쇄됐습니다.

여기서 그치지 않고 그와 지난 24일 저녁식사를 함께한 50대 여성(117번 확진자)도 30일 코로나19 양성으로 판명됐습니다.

A 씨가 23일 검사를 받고 격리됐더라면 최소한 117번 확진자 감염은 막을 수도 있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일부에서는 '무리한' 전수검사 때문에 선별진료소에서 '위급한' 의심 환자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한 결과라는 지적도 제기됩니다.

한 방역 전문가는 "확진자가 들른 장소라고 해서 그곳 방문자를 모두 검사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며 "무증상 감염자로 인한 확산을 막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것은 맞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그는 "확진자 동선 방문자를 전수검사하면 자치단체장 입장에서는 대단한 조치를 하는 양 보여줄 수 있지만, 사실은 확진율이 5%도 되지 않는 전수검사로 방역 인력을 옥죄는 것"이라며 "더욱이 이번 사례처럼 예약 전수검사 때문에 의심 환자를 놓쳐 확산을 막지 못했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고 꼬집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