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인력 부족으로…" 정의연, 일부 회계 표기 문제 인정

"인력 부족으로…" 정의연, 일부 회계 표기 문제 인정
▲ 기부금 관련 논란에 대해 입장 밝히는 이나영 정의기억연대 이사장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이하 정의연)는 회계 투명성 논란과 관련해 일부 표기에 부정확한 부분이 있었다며 사과했습니다.

다만, 일각의 의혹과 달리 기부금을 투명하게 집행했다는 점은 분명히 했습니다.

정의연은 11일 오전 서울 마포구 성산동 '인권재단 사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데이터가 깔끔하게 처리되지 못한 부분에 대해 사과드린다"며 "부족한 인력으로 일을 진행하면서 어려움이 있어 실무적으로 그렇게 편의적으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정의연 관계자는 "우리의 활동이 중요한 만큼 공시가 엄밀하게 돼야 하는데 미진했던 것 같다"며 "실무적으로 고쳐나가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정의연의 사과는 이 단체가 국세청에 공개한 2016∼2019년 기부금 활용 내용에 일부 이해할 수 없는 표기가 돼 있는 것과 관련해서입니다.

정의연이 국세청 홈택스에 공시한 명세서를 보면 기부금 개별 지출 항목 수혜 인원으로 '99명', '999명', '9천999명'이 반복해서 등장합니다.

다만, 정의연은 표기의 문제점은 인정하면서도 기부금이 불투명하게 집행됐다는 일각의 지적은 일축했습니다.

앞서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92) 할머니는 나흘 전인 7일 기자회견에서 "(정의연에) 성금·기금 등이 모이면 할머니들에게 써야 하는데 할머니들에게 쓴 적이 없다", "(수요집회에) 참가한 학생들이 낸 성금은 어디 쓰는지도 모른다"고 주장했습니다.

정의연 관계자는 이 할머니에 대해 "고령이기 때문에 마음으로 더 들어드려야 하는데 반성하는 계기가 됐다"면서도 "우리 설립 목적에 분명히 명시돼 있듯 위안부 피해자의 생활 안정만을 목적으로 하는 인도적 지원 단체는 아니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정의연은 회계 감사를 받았는지와 관련해서는 "우리 단체는 외부 회계감사를 받는 기준인 '모금액 100억 원'에 못 미쳐 자체적으로 내부 감사를 한다"며 "정의연 감사인 변호사와 회계사 총 두 분이 감사를 했다"고 전했습니다.

2015년 이뤄진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한일 합의에 따라 일본이 낸 10억 엔과 관련해서는 "10억 엔을 거부한 할머니들을 위해 시민 모금을 하고 일반 후원금을 더해 8명의 할머니에게 1억 원씩 '여성인권상금'을 지급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관계자는 "우리가 어떤 프레임을 만들기 위해 할머니들이 수령하지 못하게 했다는 것은 정말 사실무근"이라며 "형편이 어려우면 (할머니들이 10억 엔의 일부를) 받을 수도 있다고 생각해 받은 분들에게도 '여성인권평화상' 상패를 드렸다"고 덧붙였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