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이란 대통령, 트럼프 '美 인질 52명'에 '290명 여객기' 피격 거론

이란 대통령, 트럼프 '美 인질 52명'에 '290명 여객기' 피격 거론
▲ 하산 로하니 이란 대통령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40년 전 이란에 억류된 미국인 인질 52명과 같은 수의 이란 내 표적을 타격하겠다고 경고한 데 대해 로하니 이란 대통령이 미군이 격추한 이란 여객기 사망자 290명을 거론했습니다.

로하니 대통령은 "숫자 '52'를 언급하는 자들은 IR655편의 숫자 '290'도 기억해야 한다. 이란을 절대 협박하지 마라"라는 글을 트위터에 올렸습니다.

최근 미국과 이란의 긴장이 첨예해지면서 양국간 얽힌 수십 년 전의 구원까지 소환되는 모양새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이란이 솔레이마니 사령관의 피살을 보복한다면 이란 내 52곳을 겨냥해 반격하겠다고 트위터를 통해 주장했습니다.

이 52곳은 지난 1979년 테헤란 주재 미 대사관 점거 사건에서 억류된 미국인과 숫자가 같습니다.

이란 이슬람혁명 9개월 뒤인 지난 1979년 11월 4일 이란의 강경 반미 성향의 대학생들이 주 테헤란 미 대사관을 급습해 미국 외교관과 대사관 직원 52명을 인질로 삼아 444일간 억류했습니다.

미국은 이들을 구하려고 특수부대를 투입하는 작전을 폈으나 실패했습니다.

미 대사관을 점거한 대학생들은 병 치료를 이유로 미국에 체류하던 모하마드-레자 팔레비 왕의 신병을 인도하라고 미국 정부에 요구했습니다.

이 사건으로 1980년 미국은 이란과 단교하고 경제 제재를 부과했습니다.

유례없는 자국 대사관 점거·인질 사건에 위협받은 미국이 당시 이라크 사담 후세인 정권을 지원해 이란과 전쟁을 벌이도록 했다는 해석이 나올 만큼 이 사건은 중동 정세에 큰 영향을 끼쳤습니다.

미국은 이란과 1981년 내정에 다시는 개입하지 않고 주권을 존중한다는 내용을 골자로 한 '알제 합의'를 맺고 인질 사태를 해결했습니다.

억류 기간 미국인 사망자는 없었습니다.
1988년 미군의 이란항공 여객기 격추 사건을 그린 이미지
트럼프 대통령이 이 때 억류된 미국인 52명을 들고 나오자 이란 대통령은 1988년 미군의 이란항공 여객기 격추 사건으로 반박한 겁니다.

1988년 7월 3일 미군 순양함 빈센스 호는 이란 남부 항구도시 반다르압바스를 떠나 두바이로 향하던 이란항공 IR655 편을 걸프 해역의 입구 호르무즈 해협 부근 상공에서 미사일로 격추했습니다.

이 사건으로 여객기에 탔던 승객과 승무원 290명이 전원 숨졌습니다.

이란-이라크 전쟁 막바지에 발생한 이 사건에 대해 미국은 이란 전투기로 오인했다고 해명했습니다.

당시 이란은 미국의 제재로 새 비행기를 구매할 수 없었는데 미국은 이 사건 이후 에어버스 여객기 1대를 예외적으로 이란항공이 살 수 있도록 승인했습니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이란항공 홈페이지,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