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일제 강제징용 조선인 유골, 76년 만에 귀향

일제 강제징용 조선인 유골, 76년 만에 귀향
일본 도쿄도 외곽의 사찰 국평사에서 모레(14일) 한국으로 떠나는 한국인 강제징용자 유골 35구에 대한 추모 법회가 열렸습니다.

일제 강점기에 끌려왔다 고국으로 돌아가지 못한 채 국평사에 머물던 유골들은 한국의 시민단체에 의해 이번 광복절을 맞아 고국 땅을 밟게 됐습니다.

일제강제징용 희생자유해봉환위원회는 120개 단체와 함께 지난해 광복절 즈음 국평사와 유골 101구의 봉환에 합의했습니다.

이번 유골 봉환은 각각 33구가 봉환됐던 지난해 광복절과 올해 3.1절에 이은 3차 봉환입니다.

국평사에 남겨진 한반도 출신자의 유골은 200여 구로 대부분 강제징용으로 끌려온 분들입니다.

주지 윤벽암 스님은 "억울하게 일본 땅에 끌려왔다가 숨지신 분들을 이제라도 고향 땅에서 모실 수 있게 돼 다행"이라며 "남과 북이 함께 강제연행 희생자의 유골을 고국으로 보내는 일을 적극적으로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유해봉환위는 14일 한국에 도착해 김포공항에서 환향 행사를 연 뒤 다음날인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국민 추모제를 개최할 계획입니다.

유골은 이후 서울시 묘지인 승화원에 모셔집니다.

국평사와 유해봉환위 모두 남북 관계가 좋아져 비무장지대에 평화공원이 세워지면 그곳에 유골들을 모시고 싶다고 말했습니다.

국평사 같은 일본의 사찰, 납골당 등에서 모셔진 한반도 출신 징용·징병자의 유골은 2천770위로 추정됩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