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미국 '검사없는 격리해제' 지침 논란…의사협회 "확산 위험"

미국 '검사없는 격리해제' 지침 논란…의사협회 "확산 위험"
미국 보건당국이 코로나19 무증상 환자의 격리 기간을 단축한 데 이어 격리 해제 요건으로 검사를 의무화하지 않은 지침을 유지하기로 한 것을 놓고 논란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미국의사협회(AMA)는 성명을 내고 "미국인은 자신과 사랑하는 이들, 지역사회를 보호하기 위해 시의적절하고 정확하며 명확한 지침을 믿을 수 있어야 한다"며 "격리에 대한 새로운 권고는 혼란스러울 뿐 아니라 바이러스를 더욱 확산시킬 위험이 있다"고 비판했다고 로이터통신 등이 보도했습니다.

앞서 미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지난달 28일 무증상 감염자의 격리기간을 10일에서 5일로 단축했습니다.

이후 무증상자 격리 해제 요건에 '격리종료 직전 검사 의무화'를 포함해야 한다는 주장이 일면서 논란이 일자 전날 이를 수용할지 여부를 다시 논의한 끝에 의무화하지 않기로 한 기존 지침을 유지하기로 결정했습니다.

CDC는 17개 국가의 113개 연구 결과를 검토해보니 코로나바이러스 전파는 대부분 감염 초기 단계에 이뤄진다면서 5일 격리만으로 충분하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하지만, 적지 않은 보건 전문가들은 예상 밖의 조치라는 반응을 보이며 보건당국의 결정을 비판했습니다.

AMA는 "양성 판정을 받은 뒤 격리를 끝내는 데에는 음성 검사 결과가 필요하다"며 자신의 상태도 모른 채 격리를 끝내는 것은 위험하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매일 수십만 명, 지난 3일엔 100만 명 이상이 감염됐는데 새 지침을 따르면 수십만 명이 감염된 채 직장과 학교로 가는 것"이라며 정부의 이러한 권고가 환자를 위험에 빠뜨리고 의료 시스템까지 무너뜨릴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일부 전문가는 미 보건 당국의 '검사 없는 격리 해제' 방침이 현재 미국이 겪는 검사 키트 부족 현상과 맞물린 게 아니냐는 의구심을 제기하기도 했습니다.

AMA도 "검사 키트 부족 현상이 기간 단축까지 된 격리를 끝내기 위한 검사 요구사항 생략을 정당화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검사 키트 생산과 배포를 늘리기 위해 모든 수단을 동원하라고 정부에 촉구했습니다.

미국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재택 검사 키트를 구하기 쉽지 않고, 구하더라고 가격이 상당하다고 정치전문매체 더힐은 전했습니다.

이 때문에 조 바이든 대통령은 자가 진단 키트 5억 개를 사들여 자국민에게 무료로 공급하겠다고 지난달 발표했고, 백악관은 전날 구매 계약이 마무리 단계라며 이달 말에는 키트 요청에 활용될 웹사이트를 가동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로셸 월렌스키 CDC 국장은 브리핑에서 무증상자 격리 해제 시 검사를 의무화하지 않은 지침이 키트 부족 현상과는 무관하다고 해명했습니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