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내란 특검팀은 오늘(2일) 한덕수 전 국무총리를 비롯해 비상계엄 당시 국무위원들을 불러서 조사했습니다. 사흘 뒤 윤 전 대통령 2차 소환을 앞두고, 비상계엄 선포 전후에, 대통령실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걸로 해석됩니다.
백운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내란 특검팀이 오늘 오전 내란 방조 혐의를 받고 있는 한덕수 전 국무총리를 전격 소환했습니다.
특검팀이 강의구 전 대통령실 부속실장을 불러 계엄 해제 뒤 선포문을 사후로 작성해 한 전 총리와 김용현 전 국방장관의 서명을 받은 경위 등을 조사한 지 이틀만입니다.
[한덕수/전 국무총리 : 국무회의 사후 문건 작성·폐기 의혹에 대해서 한 말씀 부탁드리겠습니다.…….]
앞서 지난 2월 한 전 총리는 헌재에서 사후 작성된 계엄 선포문에 서명한 뒤 강 전 실장에게 없던 일로 하자고 말한 사실을 인정했습니다.
[윤갑근/윤 전 대통령 법률대리인 (지난 2월) : (지난해) 12월 8일 총리께서 부속실장에게 전화하여 '사후에 문서를 갖추는 것이니 없었던 것으로 하자'고 하신 바가 있다고 하십니다. 혹시 기억하십니까?]
[한덕수/전 국무총리 (지난 2월) : 예, 기억합니다.]
헌법은 대통령의 국법상 행위는 문서로 하고, 총리와 관계 국무위원이, 서명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특검팀은 선포문 사후 작성 시도에 대해 한 전 총리가 불법계엄에 동조한 정황으로 의심하고 있습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은 특검 1차 조사에서 선포문 사후 작성과 폐기 등에 대해 알고 있었다는 취지로 진술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도 소환됐습니다.
두 사람은 계엄 전 국무회의에는 불참했던 국무위원들입니다.
비상계엄 전 국무위원들에게 연락한 의혹을 받는 김정환 전 대통령실 수행실장도 조사를 받았습니다.
계엄 국무회의 참석자뿐 아니라 불참 국무위원들, 국무위원 소집에 관여한 인물들의 진술을 통해 계엄 전후 대통령실 상황을 시간대별로 재구성하기 위한 것으로 보입니다.
오늘 조사 결과는 사흘 뒤 이뤄질 윤 전 대통령 2차 소환 조사에서도 특검팀 질문의 기초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영상취재 : 김승태, 영상편집 : 황지영, 디자인 : 강혜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