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과 캐나다 국경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오는 4일(현지시간)부터 캐나다, 멕시코, 중국에 관세를 전면적으로 부과키로 하면서 이들 국가 간 관세 전쟁이 격화하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도 일부 고통을 감수할 수밖에 없다면서 불퇴 의지를 피력한 가운데 중국에 이어 캐나다는 세계무역기구(WTO) 제소 방침을 밝혔고, 멕시코는 3일 구체적 대응 계획 발표를 예고했습니다.
미국 내에서도 이번 관세 부과에 대해 '자해적 조치'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으나 트럼프 대통령은 지역적으로는 유럽연합(EU)으로, 부문별로는 반도체·철강·석유 등으로 각각 관세를 확대하겠다는 방침을 밝히고 있어 한국도 조만간 트럼프발 관세 폭풍의 직접적인 영향권에 들어가는 게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소셜미디어인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이번 관세 조치에 대해 "일부 고통이 있을 것인가"라고 반문한 뒤 "아마도 그럴 것이다"라면서 "그러나 그것은 지불해야 할 가치가 있다"라고 밝혔습니다.
이어 "이것은 미국의 황금시대가 될 것"이라면서 "(관세의) 결과는 엄청날(spectacular)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다른 나라들이 무역 등에서 미국을 상대로 약탈(ripoff)했다는 주장 등을 반복하면서 관세 부과 조치를 정당화했습니다.
J.D.
밴스 부통령도 폭스 뉴스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메시지는 간단하다"라면서 "우리는 (다른 나라에) 이용당하는 것에 신물이 났으며, 우리는 미국 국민의 이익을 위해 노력하는 대통령이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신께 감사하게도 우리는 여전히 전 세계에서 가장 큰 경제, 최고의 국민과 노동자를 갖고 있다"면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조치를 옹호했습니다.
그러나 미국 내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조치가 인플레이션을 초래하는 등 미국 국민과 산업에 타격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미국 민주당 척 슈머 상원 원내대표는 이날 뉴욕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트럼프 대통령은 물가를 내리겠다고 선거 때 약속했으나 심지어 보수 단체도 이번 (관세) 조치가 가정에 830달러의 추가 부담을 초래할 것이라고 밝혔다"면서 "관세 부과를 중단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이어 "입법적 차원에서 이번 관세가 시행되는 것을 막기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모든 방법을 모색할 것"이라고 밝혔다고 APTN 등이 보도했습니다.
캐나다는 전날 자국에 대한 미국의 25% 관세 부과에 맞서 똑같이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으며 4일부터 관세가 부과될 상세한 제품 목록을 이날 공개했습니다.
여기에는 꿀, 토마토, 위스키, 냉장고, 변기 등 미국산 제품이 망라돼 있습니다.
또 캐나다의 온타리오주 등은 정부 소유의 주류 판매점에서 미국산 맥주, 와인, 증류주 등을 판매하지 않겠다고 밝혔습니다.
캐나다는 전체적으로 모두 1천550억 캐나다 달러(약 155조 6천억 원) 상당의 미국산 제품에 관세를 부과한다는 방침입니다.
나아가 캐나다는 무역 협정 위반을 이유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조치를 WTO에 제소키로 했습니다.
이와 함께 미국·멕시코·캐나다 무역협정(USMCA)에 따른 구제 조치도 같이 추진키로 했다고 AFP 통신 등이 보도했습니다.
멕시코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에 대한 구체적인 조치를 3일 발표하겠다고 예고했습니다.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대통령은 이날 온라인에 올린 동영상에서 주먹을 공중에 치켜들면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조치로 미국 국민이 더 높은 물가로 타격을 받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그러면서 이성적 태도가 우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고 로이터 통신 등은 보도했습니다.
앞서 셰인바움 대통령은 전날 엑스(X·옛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경제부 장관에게 멕시코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관세 및 비관세 조치를 포함, 플랜 B를 시행할 것을 지시했다"고 말했습니다.
중국도 전날 트럼프 대통령의 발표 이후에 상무부 차원의 담화문을 내고 WTO 제소 및 반격 조치 방침을 밝혔습니다.
이와 관련, 트럼프 대통령은 캐나다, 멕시코, 중국 등에 대한 관세 부과 행정명령에서 상대국이 보복 조치를 취할 경우 관세 인상 등을 통해 대응할 수 있다고 경고한 바 있습니다.
나아가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말 반도체·철강·알루미늄·구리·석유·가스 등에 대한 부문별 관세 부과 방침도 천명했습니다.
그는 또 유럽연합(EU)에 대해 수차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말해 '트럼프 관세'로 인한 글로벌 통상갈등은 향후 더 확대되고 격화될 전망입니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