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고금리가 지속되는데도 돈을 빌려 집을 사겠다는 사람이 늘면서 가계 빚이 계속해서 불어나고 있습니다.
정부가 대출 한도를 줄이겠다는 억제책을 내놓았는데, 가계 빚이 좀 잡힐 수 있을지 유덕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서울 목동의 아파트 단지.
지난해 아예 얼어붙었던 거래는 올봄부터 살아났습니다.
[공인중개사 : 3월 2일에 대출이 풀렸잖아요. 그때부터 이제 살금살금 (거래와 집값이) 올라오기 시작한 거예요.]
올 들어 아파트 매매가는 전국과 서울 모두 각각 15주, 23주 연속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집값 바닥 심리는 빌려서 집 사자, 대출 급증으로 귀결됐습니다.
고금리에도 좀처럼 가계 빚이 잡히지 않는 이유입니다.
5대 시중은행의 가계 대출 잔액은 전달 대비 약 2조 5천억 원 늘어 2년 만에 가장 크게 뛰었습니다.
우리나라 가계 대출은 상환 능력이 괜찮은 고소득 차주 비중이 높고, 담보대출의 LTV 비율이 낮아 상대적으로 떼일 위험이 적다고들 평가해왔습니다.
하지만 이자만 내는 대출이 대부분이라 만기 일시 상환 비중이 절반을 넘는다는 점, 그리고 코로나 등을 겪으면서 다중 채무자가 450만 명에 육박할 정도로 빠르게 불어나자 이야기가 달라졌습니다.
고금리 상황에 가계 대출 연체율 증가세가 뚜렷해지자 정부는 소득 대비 부채 규모 한도인 DSR에 가산금리를 적용해 대출 한도를 줄이겠다는 억제책을 추가했습니다.
[성태윤/연세대 경제학과 교수 : (대출 금리 높이면) 가계에서 가져갈 소득을 금융기관으로 그냥 이전시키는… 가계는 취약해지면서 금융기관의 수익만 높아지는….]
DSR 적용 예외를 축소해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됩니다.
[김상봉/한성대 경제학과 교수 : DSR에 빠져 있는 부분들을 지금 갖고 오는 게 더 중요한 것 같아요. 전세자금대출도 대출이거든요. 집값을 올리는 주범 중 하나예요.]
추후 은행들이 금리를 높이고 심사를 강화하는 등 대출 문턱은 더 높아질 전망이어서 가계 빚 구조조정의 비용은 서민들에게 집중될 것으로 보여 이 부분도 살펴봐야 합니다.
(영상취재 : 김균종, 영상편집 : 전민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