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다양한 생물이 살아가는 습지는 우리 기후 환경에 필수적인 자원으로 꼽히고 있죠. 그런데 이 습지가 오히려 온실가스를 많이 뿜어낸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정말 습지가 기후위기를 오히려 일으킬지, 아니면 도움이 될지 먼저 김민준 기자가 살펴봤습니다.
<기자>
이곳은 창녕 개성천 인근의 대봉늪입니다.
보시는 것처럼 마름이나 개구리밥, 줄 같은 식물이 많은데, 오염물질을 거르고 잠자리가 밥을 먹는 장소가 돼 줍니다.
더 깊은 습지 주변에서는 버드나무 군락지가 눈에 띄고, 멸종위기종으로 분류되는 삵의 흔적도 발견됩니다.
[임정철/국립생태원 선임연구원 : 이렇게 흔적이 남아 있는 걸 봐선 아직 오래되진 (않은 것 같습니다.)]
습지는 이렇게 생태적 가치가 크지만, 기후적으론 오명도 있습니다.
광합성으로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일반 식물과는 달리, 습지의 미생물은 오히려 메탄 같은 온실가스를 배출합니다.
대봉늪 같은 습지는 전국에 56만 헥타르.
축구장 79만 개 크기입니다.
이 습지가 1년에 내뿜는 온실가스량은 이산화탄소로 환산하면 30만 톤.
승용차 6만 대의 배출량과 비슷합니다.
그럼, 습지는 온실가스 배출원일 뿐일까.
습지 안팎에서는 대체로 나무나 풀이 더 잘 자랍니다.
[임정철/국립생태원 선임연구원 : 습지 안엔 이런 나무도 있고 풀도 있고 물도 있고 그렇습니다. 그렇지만 지금 주로 물에 대해서만 (온실가스량을) 산정하고 있거든요.]
우리나라 면적의 6퍼센트인 습지는 그 자체로는 탄소를 뿜어내지만, 습지가 키운 녹지가 육상 탄소의 30퍼센트나 빨아들이니 습지가 탄소 배출원인지, 흡수원인지, 길고 짧은 건 대봐야 안다는 이야기입니다.
문제는 우리나라 전체 습지가 얼마나 녹지를 형성하는지, 또 식생은 어떤지와 같은 정밀한 습지 분석이 미흡하다는 점입니다.
전문가들은 이를 보완한 뒤, 습지의 기후적 역할을 규정해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영상취재 : 이용한, 영상편집 : 김윤성, 디자인 : 방명환·서승현)
▶ 온실가스 '배출량 vs 흡수량'…계산해 보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