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60년 허송세월, 끝내 염전도…'투명인간' 356명 추적하니

<앵커>

우리와 함께 살아가고 있지만, 서류상으로 존재하지 않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이름, 신분증도 없이 평생을 살아온 '무적자'들입니다. 저희가 조사해 봤더니 서울에만 300명이 넘게 확인됐는데, 이들은 학교는 물론 병원조차 가지 못하며 살아왔습니다.

왜 우리 사회가 이들을 놓쳤고, 어떤 걸 보완해야 할지, 김민준, 박재현 기자가 차례로 살펴봤습니다.

<김민준 기자>

자장면을 함께 먹던 희미한 기억을 마지막으로 아버지와 이별한 뒤 나 씨의 60년 가까운 무적자 삶은 시작됐습니다.

어린 시절 고아원에서 나온 뒤에는 밭일, 공장 일에 매달리느라 학교는 꿈도 꾸지 못했습니다.

[나 씨 : 한글도 모르고. 한글을 알아야 어쩌고 해보지.]

사회 제도 안에 속하지 못한 채 무존재한 사람으로 살아가다 발이 묶여 버린 곳은 염전입니다.

[나 씨 : 염전에서 하도 많이 맞아가지고. (햇빛에) 여기도 타가지고 빨갛게 돼가지고. 어떨 때는 잠도 못 자고 밤새도록.]

무적자의 삶은 사회 구성원의 의무와 권리에서 배제된다는 얘기입니다.

학교를 다닐 수 없고, 병원에 갈 수도 없고, 통장 개설까지 불가능해 돈은 현금만 썼습니다.

[김 씨 : (카드가 없으니까) 돈주머니에 갖고 있다가 잊어버린 적이 몇 번 있는데.]

지금까지는 국가는 단 한 번도 이들의 정확한 집계를 시도한 적이 없습니다.

SBS가 서울시와 함께 9개월 넘게 시 산하 시설 9곳을 확인해 봤더니, 이렇게 살고는 있지만, 존재하지 않은 무적자 356명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전국 단위라면, 훨씬 더 많을 걸로 추정됩니다.

확인한 356명의 평균 나이 61세, 남성은 서른여덟, 여성은 쉰이 넘어서야 자신의 성과 이름, 신분을 갖게 됐습니다.

법원 결정을 거쳐 한양 나 씨, 김 씨, 강 씨가 됐습니다.

다만 최소한의 교육 기회조차 없이 평생 혼자 살아온 무적자들에게는 성과 이름을 갖는 절차마저 큰 난관이었습니다.

[이승애/변호사 : 증명을 해야 돼요. 자기가 성과 본이 없었다는 사실을. 사실 그거는 기록이 없으면 증명하기 힘들거든요. 근데 그런 분은 거의 기록이 없으세요.]

이런 난관을 뚫은 끝에 국민이라면 당연히 갖는 신분증을 69살이 돼서야 갖게 된 강 씨.

이제서야 인생을 시작한 거 같다며 감격해했습니다.

[강 씨 : 주민등록증 자랑하고 다녔어. 예전엔 핸드폰도 없었는데 지금은 핸드폰도 있고 은행도 갈 수 있고, 병원도 갈 수 있는데….]

(영상취재 : 황인석·한일상·양지훈, 영상편집 : 원형희, 디자인 : 방명환, VJ : 신소영)

무적자의 삶 추적 연속보도, SBS 기자

---

<박재현 기자>

저희가 확인한 무적자 356명 중에 대략으로 라도 삶의 궤적을 확인한 사람은 193명뿐이었습니다.

이들의 인생 스토리에서 공통 키워드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우선, 무적자 193명 중 106명이 장애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이 중 63명이 정신적, 언어적 장애를 겪었는데, 이들과의 상담 기록을 보면, 의사소통이 어렵다는 평가가 자주 등장합니다.

삶의 기록이 부족하면 증언을 통해서 연고지와 가족을 찾아야 하는데, 의사소통 장애가 사회와의 단절을 초래한 셈입니다.

무적자의 비참한 삶은 비정상적인 가족 해체에서 시작됐습니다.
 
선천적 장애 등을 이유로 가족과 헤어져 보육 시설에 들어간 사람이 44명.

하지만 보육시설 생활도 폭력과 가혹행위에 시달리며 뛰쳐나왔습니다.

이후의 삶은 악순환의 연속입니다.

노숙 생활을 전전하며 사회 제도 보호 밖을 맴돌다가 나이가 들면 들수록 더 깊은 수렁에 빠져들고 말았습니다.

세 번째 키워드, 무관심입니다.

엄밀히 말하면 공동체의 무관심입니다.

무적자들은 가족에 대한 기억도, 이름과 나이도, 아무것도 기억에 남아 있지 않다고 증언합니다.

애초에 교육 기회도 없었고, 그렇다고 기억에 남는 삶의 장면도 없는 이들을 국가는 관심을 주지 않았습니다.

단 한 번의 실태 조사도 없었고, 심지어 죄를 짓고 감옥에 수감됐는데도 형기를 마친 뒤 다시 무적자로 내몰린 사례도 많았습니다.

[기재일/서울시 자활지원팀장 : 멀쩡하게 실체적으로는 사람이지만 아무런 기록도 없어 법과 제도적으로. 그러면 (무적자들은) 사람인가요? 약간 난센스죠.]

이들은 길에 쓰러져 병원에 실려 간 후에야 신분 기록이 없다는 사실을 알 정도로 우리 사회는 이들에게 무심했습니다.

[김 씨 : (누군가 도와줬으면) 방향이 좀 바뀌어서, 지금 어떻게 바뀌었을지는 모르지만 너무 허송세월을 많이 한 거죠, 결론은. 빨리했으면 (인생이) 바뀌었을지도 모르죠.]

(영상취재 : 장운석·황인석·이용한, 영상편집 : 오영택, 디자인 : 장예은)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