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이재명 "기업 있어야 노동 있고, 노동 있어야 기업 있어"

이재명 "기업 있어야 노동 있고, 노동 있어야 기업 있어"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가 오늘(1일)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한국노총과의 정책협약식에 참석해 "기업이 있어야 노동이 있고 노동이 있어야 기업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 후보는 "앞으로는 말도 안 되는 분열과 대결의 언어를 버리고 진정한 통합의 길로 나아가도록 노력하겠다"며 "노동자들이 잘돼야 기업이 잘되고 기업이 잘돼야 노동자들의 삶이 좋아진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정치는 중간에서 양자를 포괄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대선후보 확정을 전후해 통합의 가치를 앞세우는 가운데 집권할 경우 노사 간 통합에도 공을 들이겠다는 의지로 풀이됩니다.

이 후보는 "제가 노동자를 만나면 '반기업'이라 하고, 기업인을 만나면 '우클릭, 심하게는 '쇼'라고 하는데 기업 없이 경제가 살 수 있고 노동 없는 기업이 있을 수 있나"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이 후보는 노사 간 대립의 사례로 반도체 특별법의 핵심 쟁점인 '주 52시간 근로제한 예외' 문제를 들었습니다 이 후보는 이 문제의 조율을 위해 노사 양측을 만난 데 이어 지난 2월에는 여야정 국정협의회에서 이를 논의한 바 있습니다.

정부는 지난 3월 반도체 연구개발로 특별연장근로를 신청할 때 1회 최대 인가 기간을 현행 3개월 외에 6개월도 선택할 수 있게 했습니다.

이 후보는 "정부의 요구는 (특별연장근로 신청 시 최대 인가 기간을) 6개월로 늘리는 데 욕을 먹으니 '반도체 업계의 특성을 고려해 노동 행정을 한다'는 문구만 넣어달라는 것이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노동계에 '명목상 그 조항을 넣으면 안 되겠나' 물었더니 '필요 없는 걸 왜 넣느냐' 했는데 그 말도 맞고, '필요 없으니 넣어줘도 되지 않나' 하는 (반대 논리의) 말도 맞는다"며 "제가 양쪽을 조정하다 포기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앞으로 노동계와 기업, 자본가가 대화했으면 좋겠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이 후보는 오늘 맺은 정책협약과 관련해 "(정책협약에 담긴) 주요 정책 과제는 한노총이 요구하는 과제는 최선을 다해 함께 이행하도록 노력하겠다는 것"이라며 "민주당의 정책 공약으로 이해하지 않기를 바란다"고 당부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