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오송 지하차도 참사 한 달…'수사 · 입법' 여전히 진행 중

<앵커>

지난 한 달 동안 진상 규명과 대책 마련을 위한 우리 사회의 노력은 얼마나 진전이 있었는지도 짚어보겠습니다. 먼저 검찰이 전방위적인 수사에 나섰지만 가시적인 성과는 아직 나오지를 않고 있고, 또 입법 논의 역시 여야의 협의 문턱을 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러는 동안 관계기관 사이의 말 돌리기는 여전히 되풀이되고 있습니다.

이 내용은 사공성근 기자가 전하겠습니다.

<기자>

참사의 1차 원인으로는 허술한 임시 제방이 지목됩니다.

행복청은 도로 확장 공사를 위해 기존 제방을 허물고 모래주머니로 임시 제방을 쌓았는데, 밀려드는 빗물을 감당하기에 역부족이었습니다.

또 지하차도 침수 전후로 119와 112에 신고가 쏟아졌지만 주민 대피와 도로 통제 등 관계기관 어느 하나 제대로 나서지 않았고, 그 책임을 둘러싼 공 떠넘기기는 한 달째 계속되고 있습니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관계자 : 이제는 대피해야 한다. 충북도청도 알고 있어야 할 것 같아 다시 전화했다(라고 전파했죠).]

[홍명기/충북도청 자연재난과장 : 근데 '알고만 있으라'고 거기서 저기 행복청에서 얘기를 했기 때문에….]

[청주시 관계자 : 궁평2차도는 시나 구청에서는 염두에 두지 않아요.]

신고를 받은 경찰은 다른 지하차도로 출동했고, 출동 기록을 조작했다는 의혹도 받습니다.

국무조정실의 수사 의뢰를 받은 검찰은 지난달 24일 대대적인 압수수색에 착수했지만, 가시적 성과는 아직입니다.

검찰 관계자는 "압수품 중 컴퓨터나 휴대전화 등 디지털 자료가 많아 분석하는 데 시간이 걸리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수사 의뢰 대상이 지자체와 경찰, 소방 관계자 등 36명인데, 유가족들은 실무자 선에서 꼬리 자르기는 안 된다며 충북도지사, 청주시장, 행복청장을 고발한 상태입니다.

증거 인멸 시간을 줘서는 안 된다며 신속한 수사를 촉구하는 목소리도 큽니다.

[이경구/오송 지하차도 참사 유가족협의회 대표 : 참사가 발생하고 벌써 한 달이 시간이 지났는데, 참사가 잊혀지기 전에 빠른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이 있어야….]

참사 직후 앞다퉈 20여 건의 밀린 법안을 처리하겠다고 다짐했던 여야는 협의를 이어가고는 있지만 아직 처리 대상 법안을 정하지 못한 상태입니다.

(영상편집 : 원형희, CG : 제갈찬·강윤정)

▶ 지하차도서 필사의 탈출…생존자들, 블랙박스 추가 공개
▶ 6명 고소한 지하차도 생존자들…"일상 돌아가게 해달라"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