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채권시장, 미국 고금리 아주 오래 지속 예측"

"채권시장, 미국 고금리 아주 오래 지속 예측"
▲ 제롬 파월 미 연준 의장

미국 채권시장 투자자들은 높은 금리가 아주 오랜 기간(forever)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24일 보도했습니다.

연준의 금리 인하 가능성을 떨어트리고 시장이 기대하는 채권 랠리에 역풍을 일으킬 수 있는 요인이 여전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최근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현상)과 노동시장 모두 냉각되고 있다는 신호가 나타나면서 시장에서는 미국 국채의 랠리가 곧 시작될 것이라는 낙관론이 커지고 있습니다.

트레이더들은 이제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이르면 오는 9월에 금리를 인하할 만하다는 쪽에 베팅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시장에서는 중립금리가 정책 입안자들의 현재 예상보다 훨씬 높다는 의견이 확산해 예상 밖 결과를 낳을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는 게 블룸버그의 전언입니다.

중립금리는 인플레이션이나 디플레이션 없이 물가가 안정된 상태에서 자금의 공급과 수요를 맞춰 경제를 제약하거나 자극하지 않는 이론적 금리를 일컫습니다.

SMBC 닛코 증권 아메리카의 미국 담당 수석 이코노미스트 트로이 루드카는 "중요한 점은 경제가 예상대로 둔화할 때 금리 인하 횟수가 줄고, 향후 10년가량의 금리가 지난 10년보다 높을 수 있다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중립금리가 수십 년간의 하향 움직임에서 상향으로 반전한 데는 미국 정부의 대규모 재정적자와 함께 기후변화에 맞선 투자 증가 전망도 한몫했습니다.

채권 랠리에는 인플레이션과 성장이 더 현저하게 둔화해 연준의 현 예상보다 더 빠르고 큰 폭의 금리 인하가 필요하지만, 중립금리가 높을수록 이 시나리오는 가능성이 작습니다.

미국 금리가 어디로 향할지 시장의 전망을 보여주는 선도 계약(forward contracts)은 3.6%에서 멈춰있습니다.

선도 계약은 미래 일정 시점에 일정량의 특정 상품을 미리 정한 가격으로 매매하기로 맺은 계약을 의미합니다.

선도 계약은 작년 최고치인 4.5%보다는 낮아졌지만 지난 10년 평균보다 여전히 1% 이상 상회하고, 연준의 자체 추정치 2.75%보다도 높습니다.

이는 시장이 채권수익률과 관련해 훨씬 높은 수준의 하한선을 책정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만큼, 결국 채권 랠리의 지속에는 한계가 있다는 점을 함축합니다.

블룸버그 전략가인 벤 람은 최근 두 개의 점도표 상에서 연준이 명목 중립금리 추정치를 2.50%에서 2.80%로 올렸다며, 시장이 연준의 올해 두 차례 금리 인하를 기대하는 것이 과한 것으로 보이는 점이라고 말했습니다.

한편, 이코노미스트들은 오는 28일 발표 예정인 5월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가 연율 2.6% 올라, 전월의 2.8%에서 둔화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PCE 지수는 연준이 선호하는 물가 지표로, 예상되는 5월 수치는 2021년 3월 이후 가장 낮지만 연준의 2% 인플레이션 목표보다 여전히 높습니다.

(사진=AP,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