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삼성전자, 파운드리 전략 공개한다…1나노 공정 로드맵 주목

삼성전자, 파운드리 전략 공개한다…1나노 공정 로드맵 주목
▲ 지난해 6월 27일(현지시간) 열린 '삼성 파운드리 포럼 2023'에서 기조연설하는 최시영 삼성전자 파운드리사업부장 사장

삼성전자가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연례행사인 '파운드리 포럼'을 열어 반도체 파운드리 전략을 공개합니다.

매년 이맘때 열리는 이 행사에서 삼성전자가 파운드리 공정 로드맵을 공개해 온 만큼 이번에도 '깜짝 발표'가 나올지 이목이 쏠립니다.

삼성전자 파운드리사업부는 현지 시간 12∼13일 미국 새너제이 삼성 반도체 캠퍼스에서 '삼성 파운드리 포럼·SAFE 포럼 2024'를 엽니다.

삼성전자는 파운드리 기술 로드맵과 AI 반도체 생태계 강화 전략 등을 발표하고, 이를 파트너사 및 고객과 공유할 계획입니다.

이번 파운드리 포럼에는 최근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장이 된 전영현 부회장을 비롯해 최시영 파운드리사업부장(사장), 이정배 메모리사업부장(사장) 등 삼성전자 반도체 사업부 임원들이 총출동합니다.

최 사장은 기조연설을 통해 AI 시대에 대응할 삼성전자의 최첨단 파운드리 공정 로드맵을 발표할 예정입니다.

앞서 삼성전자는 2022년 파운드리 포럼에서 2025년에 2나노(㎚·10억 분의 1m), 2027년에 1.4나노 공정을 적용한 반도체를 양산하겠다고 선언했습니다.

이어 작년 행사에서는 글로벌 파운드리 1위 타이완 TSMC보다 먼저 업계 최초로 구체적인 2나노 공정 로드맵을 제시했습니다.

지난해 6월 27일(현지시간)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개최한 '삼성 파운드리 포럼 2023'

그러나 삼성전자는 세계 파운드리 2위 업체지만 선두 TSMC와 좀처럼 격차를 좁히지 못하고 있습니다.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작년 4분기 파운드리 점유율은 11.3%로, TSMC(61.2%)와의 격차는 직전 분기 45.5%포인트에서 49.9%포인트로 더 벌어졌습니다.

메모리 강자인 삼성전자는 아직 파운드리에서는 TSMC보다 업력이 짧고 생산 능력이 부족해 격차가 큰 편입니다.

이에 삼성전자는 기술력에서 주도권을 잡아 TSMC를 따라잡겠다는 의지를 드러내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2022년 6월 세계 최초로 차세대 트랜지스터인 GAA(Gate-All-Around) 구조를 적용한 3나노 양산을 시작했습니다.

지금도 삼성전자만 3나노 공정에 GAA를 쓰는 만큼 최신 기술에서는 삼성전자가 TSMC에 뒤처지지 않는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사진=삼성전자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