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기시다, 한중일 회의서 "북 핵 · 미사일, 일 납북자 논의"

기시다, 한중일 회의서 "북 핵 · 미사일, 일 납북자 논의"
▲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27일 서울에서 열리는 한중일 정상회의에서 북한 핵·미사일, 일본인 납북자 문제를 논의해 긴밀한 의사소통을 모색하려 한다고 밝혔습니다.

기시다 총리는 교도통신이 이날 보도한 인터뷰에서 한중일 정상회의와 관련해 3개국이 지역 평화와 번영에 큰 책임을 공유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그는 한중일이 자유롭고 공정한 국제경제 질서 유지·강화에 "미묘한 차이가 있다"며 "실천적 대응 공유에 대해 논의할 수 있다면 큰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한중일이) 여러 과제에 대해 흉금을 터놓고 논의해 폭넓은 분야에서 미래 지향의 실무 협력 추진에 (의견을) 일치하고자 한다"며 3국 정상회의 정례화를 추진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이번 정상회의에는 윤석열 대통령과 리창 중국 총리, 기시다 총리가 참석합니다.

기시다 총리는 26일 출국해 윤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하며, 리창 총리와 회담도 추진하고 있습니다.

기시다 총리는 한일 국교정상화 60주년을 맞는 내년에 공동문서를 발표하고자 한다는 의욕도 드러냈습니다.

그는 "새로운 시대에 걸맞은 미래를 위한 일한 협력과 연계 방식에 대해 솔직하게 의견을 교환해 지혜를 내고자 한다"고 말했습니다.

한일 정상회담에서는 일본 총무성 행정지도로 불거진 라인야후 사태와 일제강점기 징용 피해자 배상 문제 등이 논의될 것으로 보입니다.

리창 총리와 회담에 대해 기시다 총리는 "정상 레벨의 의사소통 일환으로 솔직히 의견을 교환했으면 한다"고 바랐습니다.

이어 중일 관계와 관련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대화 등 톱 레벨의 대화를 지속해 현안 사항에서 조금씩 결과를 내면서 건설적이고 안정적인 관계를 구축해 가고자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기시다 총리가 리창 총리와 대면한다면 중국이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오염수(일본 정부 명칭 '처리수') 해양 방류 대응 조치로 시작한 일본산 수산물 수입 금지를 조속히 철폐해 달라고 요구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2008년 일본 후쿠오카에서 처음 개최된 한중일 정상회의는 2019년 중국 청두에서 열린 8차 회의 이후 코로나 팬데믹 등을 이유로 중단됐다가 4년 5개월 만에 재개됩니다.

(사진=AP,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