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바이든 가짜 목소리' 벌금 82억…딥페이크 차단 속도

<앵커>

올해 초 미국 대선 후보 경선에서 바이든 대통령의 가짜 목소리 전화가 논란이 됐는데요. 미 당국이 AI로 이 가짜 목소리를 만든 사람에게 형사 기소와 함께 벌금 82억 원을 부과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AI 딥페이크 음란물 문제에 대해서도 업계에 협조 공문을 보내는 등 대응에 나섰습니다.

워싱턴에서 남승모 특파원입니다.

<기자>

지난 1월 미국 뉴햄프셔 주 예비경선을 앞두고 유권자들에게 걸려온 전화 메시지입니다.

[바이든 미 대통령 음성 위조 전화 (지난 1월) : 말도 안 되는 소리입니다. 11월 대선을 위해 당신의 표를 아끼는 게 중요합니다.]

'말도 안 되는 소리'라는 바이든 대통령의 말투까지 흉내 냈지만 AI로 만들어 낸 가짜 목소리입니다.

뉴햄프셔 검찰은 이 가짜 메시지를 만든 정치 컨설턴트 스티브 크레이머를 투표 방해 등 26개 혐의로 기소했습니다.

미 연방통신위원회도 형사 처벌과 별개로 크레이머에게 82억 원의 벌금을 부과했습니다.

크레이머는 선거 개입 의도는 없었다며 AI로 만들어낸 가짜 이미지나 영상인 딥페이크 규제를 촉구하기 위해 벌인 일이라고 주장한 걸로 알려졌습니다.

연방통신위는 정치 광고에 AI를 사용할 경우 이를 표시하도록 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사회 문제가 되고 있는 딥페이크 음란물 유통 차단 조치도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백악관은 AI 개발자와 금융기관, 클라우드 컴퓨팅 업체 등에 딥페이크 음란물로 수익을 내지 못하도록 조치해달라는 공문을 발송했습니다.

앞서 지난 1월 팝스타 테일러 스위프트를 딥페이크 기술로 합성한 음란물이 유포돼 논란이 됐습니다.

백악관은 IT 등 관련 업계에 대한 딥페이크 음란물 차단 요청과 함께 의회를 향해서도 관련법 제정을 촉구했습니다.

(영상취재 : 박은하, 영상편집 : 채철호)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