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직구 한 번이라도 해봤나"…선택권 · 안전 다 잡으려면?

<앵커>

며칠 전 정부가 해외 직접 구매 규제 방침을 밝혔다가 거센 반발이 일자 사흘 만에 물러섰습니다. 누가 무슨 이유로 이렇게 해외 직구를 하는지 꼼꼼히 살펴보지 않고 섣불리 정책을 발표했다가 혼란을 자초한 겁니다.

실효성 있는 직구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선 어떤 점을 보완해야 할지 이 부분 김수영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기자>

경기도 부천에 사는 30대 직장인 A 씨는 7년 전부터 아이 장난감, 옷, 영양제 등을 모두 해외 직구로 구매합니다.

[A 씨/30대 직장인 (해외 직구족) : 우리나라에서 사려면 몇 배 이상 돈을 주고 구해야 되고 그렇기 때문에 미국에서 직구하는 게 더 낫더라고요.]

A 씨처럼 오래전부터 해외 직구를 경험한 이른바 '원조' 직구족들은, 검증된 주요 브랜드 제품을 시간이 걸리더라도 합리적인 가격에 구매해 왔습니다.

직구족 성격에 변화가 생긴건 알리 테무의 공습 이후, '초저가'에 '빠른 배송', 직구족 규모는 폭발적으로 급증했습니다.

7조 원 규모인 직구 시장은, 이제 일상에서 없으면 안되는 수준이 된 상황.

신생 중국 이커머스를 타겟으로 한 금지 일변도 규제에 원조 직구족들은 당황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A 씨/30대 직장인 (해외 직구족) : 정책 내신 분들이 진짜 통관 번호라도 있으신 분들인지, 한 번이라도 직구를 해보시는 건지 궁금하긴 해요.]

유해물질이 검출된 어린이 용품 등에 대한 우려가 큰 것은 사실인 만큼, 먼저 위해 제품만 선별적으로 차단하는 실효성있는 접근이 필요합니다.

실제 알리 테무 판매 장난감에서 발암물질이 발견되자, 지난달 관련 카드 결제는 40% 이상 빠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재경/중국 이커머스 이용자 : 건강에 대한 게 너무 우려가 돼서 가격을 좀 더 주더라도 그냥 한국에서 인증받은 제품을 구매하는 게 좋지 않나라고 생각을 하고 있어요.]

[정연승/단국대 경영학과 교수 : 자기들이 플랫폼을 통해서 판매된 제품에 대해서는 책임을 좀 강하게 질 수 있도록 해서 자체 정화가 일어날 수 있도록 피해가 난 거에 대해서는 좀 구체적인 규제나 패널티를 줄 수 있잖아요.]

소비자 보호 자율 협약은 말 뿐, 알리 테무엔 여전히 판매자 정보를 알수 없는 경우가 많아 단속도 강화해야 합니다.

(영상취재 : 장운석·유동혁, 영상편집 : 신세은, 디자인 : 임찬혁)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