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한경협 "경제고통지수,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완화"

최근 5년간 국민 체감경제고통지수 추이 (사진=한경협 제공, 연합뉴스)

우리나라 국민이 실업과 물가 상승 등 경제 여건에 따라 느끼는 어려움의 정도가 코로나19 이전으로 완화됐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습니다.

한국경제인협회는 체감실업률과 체감물가상승률을 활용해 국민(15∼69세)이 느끼는 경제적 어려움을 뜻하는 체감경제고통지수를 산출한 결과, 지난해 12.5를 기록해 2022년(15.8) 대비 3.3포인트 하락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코로나19 이전 시기인 2018년(12.9), 2019년(12.0)과 유사한 수치입니다.

한경협은 체감경제고통지수 개선 이유로 체감실업률 하락을 꼽았습니다.

체감실업률이란 공식 실업자 통계로는 잡히지 않는 시간제 근로자, 취업준비생, 구직단념자 등을 실업자로 간주해 계산한 실업률입니다.

체감실업률은 2018년 11.4%에서 2020년 13.6%로 상승해 정점을 찍은 뒤 지난해에는 9.0%로 떨어져 코로나19 이전 수준에 비해 안정된 모습을 보였습니다.

체감물가상승률은 2022년 5.2%까지 급등한 후 지난해 3.5%로 하락했지만, 2018∼2020년 상승률(0∼1%대)보다는 여전히 높은 수준입니다.

최근 5년간 국민 체감실업률·체감물가상승률 추이 (사진=한경협 제공, 연합뉴스)

다만 체감실업률 하락에도 일자리 질은 나빠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해 주 36시간 이상 근로자는 2,051만 1,000명으로, 5년 전인 2018년 2,066만 6,000명보다 0.8% 감소했습니다.

반면 주 36시간 미만 근로자는 지난해 605만 6,000명으로 22.7% 증가했습니다.

(사진=한경협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