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지구종말시계, 종말까지 90초…핵보유국 전쟁 개입 우려 커"

"지구종말시계, 종말까지 90초…핵보유국 전쟁 개입 우려 커"
▲ '지구 종말(둠스데이) 시계'의 초침

지구 멸망까지 시간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지구 종말 시계'(Doomsday Clock)의 초침이 작년과 같은 수준으로 설정됐습니다.

미국 핵과학자회(BSA)는 23일(현지시간) '지구 종말 시계'의 초침을 지구 종말을 의미하는 자정까지 '90초 전'를 유지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지난해와 같은 수준입니다.

BSA는 2020년부터 100초 전으로 유지해 오다 지난해 90초로 당긴 바 있습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핵 사용 우려가 고조된 데 따른 것입니다.

BSA는 올해 시계를 설정한 위험의 근거로 핵 위협, 기후 변화, 인공지능(AI)과 새로운 생명 공학을 포함한 파괴적인 기술 등을 들었습니다.

레이첼 브론슨 BSA 회장은 "지난해와 (90초로) 변함이 없는 것은 세계가 안정적이라는 표시가 아니다"라며 자정까지 90초는 매우 불안정한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핵보유국으로서 이스라엘은 분명 지구 종말 시계와 관련이 있다"며 "특히 이 지역에서 분쟁이 더 광범위하게 확대돼 더 큰 전쟁이 일어나고, 더 많은 핵보유국이 개입할 수 있다는 점이 우려된다"고 말했습니다.

기후 변화에 대해서는 "2023년 세계는 기록적으로 가장 더운 해를 겪었고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도 계속 증가하면서 미지의 영역에 진입했다"며 "전 세계와 북대서양 해수면 온도는 기록을 경신했고, 남극 해빙은 위성 데이터가 등장한 이래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고 말했습니다.

지구 종말 시계가 처음 만들어졌을 때 가장 큰 위험은 핵이었고, 2007년 처음 기후변화가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등이 주축이 돼 1945년 창설한 BAS는 지구 멸망 시간을 자정으로 설정하고, 1947년부터 매년 지구의 시각을 발표해 왔습니다.

자정 7분 전으로 시작한 시계는 미국과 소련이 경쟁적으로 핵실험을 하던 1953년에는 종말 2분 전까지 임박했다가 미소 간 전략무기감축협정이 체결된 1991년 17분 전으로 가장 늦춰진 바 있습니다.

그러나 이후 핵무기가 사라지지 않고 기후 변화와 코로나19 사태 등 위협이 이어지며 2019년 시계는 자정 2분 전으로 설정됐습니다.

이어 2020년 이란과 북한의 핵 프로그램 등을 이유로 자정 전 100초로 이동했고 지난해 90초 전까지 앞당겨졌습니다.

(사진=AP,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