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한국, 유엔 인권검증대 선 중국에 '탈북민 인권' 첫 권고

한국, 유엔 인권검증대 선 중국에 '탈북민 인권' 첫 권고
▲ 윤성덕 주제네바 한국대표부 대사

한국 정부가 부당한 인권 침해를 겪고 있는 탈북민을 보호하고 국제 규정을 준수하라고 중국에 권고했습니다.

윤성덕 주제네바 한국대표부 대사는 23일(현지시간) 유엔 제네바사무소 E빌딩에서 열린 중국의 '보편적 인권 정례검토'(UPR) 절차에서 "탈북민을 포함한 해외 출신 이탈자들에 대한 적절한 보호를 제공하길 권고한다"고 중국에 전했습니다.

중국을 대상으로 한 UPR에서 우리나라 정부가 탈북민 인권 문제를 직접 거론한 것은 처음입니다.

윤 대사는 강제송환 금지 원칙을 포함한 국제규범을 존중하고 1951년 국제사회가 채택한 난민의 지위에 관한 협약을 이행하기 위한 노력으로 국내 난민법 제정을 검토할 것 등도 권고 사항으로 제시했습니다.

UPR은 유엔 회원국 193개국이 돌아가면서 정기적으로 자국 인권 상황과 권고 이행 여부 등을 회원국들로부터 심의받는 제도입니다.

우리나라에 대한 UPR은 지난해였습니다.

문재인 정부 시절인 2018년 3차 중국 UPR 당시엔 탈북민 관련 질의를 아예 하지 않았고, 박근혜 정부 시절인 2013년 2차 UPR에서는 현장 발언을 통해 강제송환금지 원칙 준수 등 난민 보호 문제를 언급했지만 북한을 명시적으로 거론하진 않았습니다.

중국은 북한 이주민이 불법으로 입국했고, 대부분 돈을 벌려고 온 것일 뿐이며 인권침해 행위와의 관련성을 인정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유지해왔습니다.

첸 슈 주제네바 중국대표부 대사가 이끄는 대표단은 이날 자국 인권 보호 수준이 크게 발전했고 국제적 인권교류를 위해 끊임없이 노력했다고 자평하면서 "기본 공공 서비스에 대한 더욱 공평한 접근을 보장하고 평등한 인권 향유를 촉진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북한은 이날 회의에서 중국의 인권 상황을 칭찬하는 발언을 했습니다.

방광혁 주제네바 북한대표부 차석대사는 "우리는 중국의 국민이 선택한 정치 체제와 경제발전 경로를 중국 정부가 지키는 것을 높이 평가한다"며 "중국은 현대화를 통해 평등한 인권의 향유와 번영을 이뤘다"고 말했습니다.

(사진=유엔TV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