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프랑스, 출산율 하락에 산후 출산휴가 10주→6개월 추진

프랑스, 출산율 하락에 산후 출산휴가 10주→6개월 추진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출산율 저하를 막고자 현행 출산휴가를 6개월로 늘리는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16일(현지시간) 생중계된 기자회견에서 밝혔습니다.

현재 프랑스는 여성의 경우 둘째 아이까지 산전 6주, 산후 10주 등 총 16주의 출산휴가를 쓸 수 있는데 부부 모두 산후 휴가를 6개월로 늘리겠다는 겁니다.

또, 마크롱 대통령은 최대 3년인 육아휴직과 관련해 "여성이 육아휴직 기간 노동시장에서 배제되고 월 지원금도 적어 (휴직자를) 불안케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프랑스 일간지 르몽드에 따르면 육아휴직 기간 낮은 보조금 탓에 여성의 14%, 남성의 1%만 육아휴직 제도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마크롱 대통령은 실효가 적은 육아휴직 대신 출산 후 6개월 동안 부모가 출산휴가로 아이와 함께 지내고 이 기간의 지원금을 늘리는 새로운 출산 휴가를 도입하겠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마크롱 대통령은 최근 몇 년 동안 남녀 모두에게 불임이 늘어 고통받고 있다며 불임 퇴치 계획도 추진하겠다고 전했습니다.

프랑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프랑스에서 태어난 아기는 전체 67만 8천 명으로 2022년 72만 6천 명보다 6.6% 감소했습니다.

합계 출산율도 2022년 1.79명에서 2023년 1.68명으로 떨어질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그러나 여성단체와 좌파 진영은 정부가 여성의 몸을 통제하려 한다고 비판했습니다.

여성 재단의 안-세실 마일페 회장은 SNS에 "우리의 자궁을 내버려 두라"고 적었고, 여성과 가족권리 협회(CIDFF)도 "여성의 자율성에 극히 반하는 정치적·사회적 퇴행"이라고 비판했습니다.

반면 극우 정당 '국민연합(RN)'의 필리프 발라르 대변인은 마크롱 대통령의 정책을 환영하며 더 나아가 정부가 가족부를 설치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사진=AFP,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