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남쪽에선 필리핀과, 동쪽에선 일본과…중국, 잇따라 해상 '충돌'

남쪽에선 필리핀과, 동쪽에선 일본과…중국, 잇따라 해상 '충돌'
(위에서부터) 9일 일본과 충돌을 빚은 센카쿠 열도,
필리핀과 9∼10일 각각 마찰을 일으킨 스카버러 암초와 세컨드 토머스 암초

중국이 남중국해·동중국해에서 각각 해상 영유권 분쟁을 벌이고 있는 필리핀·일본과 또다시 충돌을 이어갔습니다.

중국 해경은 소셜미디어(SNS) 공식 계정을 통해 오늘(10일) 오전 필리핀 해경선 2척과 공무선 1척, 보급선 1척이 중국 정부 승인 없이 스프래틀리 군도(중국명 난사군도·필리핀명 칼라얀군도) 세컨드 토머스 암초(중국명 런아이자오·필리핀명 아융인) 인근 해역에 침입함에 따라 통제 조처를 했다고 밝혔습니다.

중국 해경은 "오전 6시 39분 필리핀 '우나이자 메이' 1호 함정이 우리가 한 여러 차례의 엄중 경고를 무시, 국제해상충돌방지규칙을 위반한 채로 비전문적이고 위험한 방식으로 갑자기 방향을 바꿨고, 정상적인 법 집행 항행 중이던 우리 해경 21556정을 고의로 들이받아 측면 충돌을 발생시켰다"며 "책임은 완전히 필리핀 측에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중국과 필리핀은 어제는 북동쪽으로 650㎞가량 떨어진 남중국해 스카버러 암초(중국명 황옌다오·黃岩島) 인근에서 마찰을 빚은 바 있습니다.

필리핀은 어제 중국 해경선이 스카버러 암초 부근에서 자국 수산국 선박을 겨냥해 물대포를 쐈고, 이로 인해 선박의 통신·항법 장치가 손상됐다고 발표했습니다.

중국과 필리핀은 최근 남중국해 영유권 문제로 잇달아 충돌하고 있습니다.

중국은 남중국해에 U자 형태로 9개 선(구단선)을 긋고 이 안의 약 90% 영역이 자국 영해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에 필리핀은 국제상설재판소(PCA)에 소송을 제기했고 PCA는 중국의 영유권 주장이 국제법상 근거가 없다고 지난 2016년 판결했지만, 중국은 이를 무시하고 있습니다.

중국 해경은 지난 8월과 지난달에도 남중국해 스프래틀리 군도 세컨드 토마스 암초 인근에서 필리핀 선박을 향해 물대포를 쏘기도 했습니다.

한편, 이날 중국 해경은 전날 센카쿠(尖閣·중국명 댜오위다오<釣魚島>) 열도 인근에서 일본 측 순시선들과 마찰을 빚은 사실도 공개했습니다.

간위 중국 해경 대변인은 해경 공식 SNS를 통해 "9일 일본 어선 '쓰루마루' 호와 여러 척의 순시선이 불법으로 우리 댜오위다오 영해에 진입했다"며 "중국 해경 함정은 법에 따라 필요한 통제 조치를 취하고 경고·퇴거 조치를 했다"고 발표했습니다.

간 대변인은 "댜오위다오와 그 부속 도서는 중국 고유의 영토로, 중국 해경 함정은 법에 따라 본국 관할 해역에서 해상 권익 수호·법 집행 활동을 전개했고, 일본은 뭐라 할 권리가 없다"며 "우리는 일본이 즉시 이 해역에서의 모든 위법 활동을 즉시 중단하고, 유사한 사건의 재발을 방지할 것을 촉구한다"고 했습니다.

동중국해에 있는 센카쿠 열도는 중국과 일본이 영유권 분쟁을 벌이는 곳으로, 일본 오키나와현 이시가키지마로부터 180㎞가량, 중국 본토로부터는 330㎞ 정도 떨어진 섬입니다.

중국 해경은 해경선의 센카쿠 열도 주변 순항 소식을 수시로 공개하며 자국 영토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한 명분을 쌓아왔습니다.

특히 일본의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오염수(일본 정부 명칭은 '처리수') 방류를 전후해 중국과 일본 간 갈등이 불거진 이후 잇따라 해경 함정을 보냈고, 지난달 28일에도 이 해역에서 일본 측 순시선들과 마찰을 일으켰습니다.

중국군 전략가로 알려진 허레이(何雷) 중장은 전날 일본 교도통신 인터뷰에서 센카쿠 열도와 관련해 "전쟁을 바라지 않지만 두렵지 않다"며 이례적으로 '전쟁'이라는 단어를 꺼내들기도 했습니다.

(사진=구글 지도 캡처,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