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미국 물가지표 10월도 둔화…금리인상 종료 기대 뒷받침

미국 물가지표 10월도 둔화…금리인상 종료 기대 뒷받침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통화정책에 준거로 삼는 인플레이션 지표가 10월 들어서도 둔화세를 지속했습니다.

인플레이션 둔화세가 지속해서 지표로 확인되면서 연준이 추가금리 인상이 사실상 종료됐다는 전망은 더욱 굳어지게 됐습니다.

미 상무부는 지난 10월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가 전년 동월 대비 3.0% 상승했다고 30일(현시지간) 밝혔습니다.

이 같은 상승률은 2021년 3월 이후 2년 7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입니다.

전월과 비교해서는 지수가 같은 수준에 머물렀습니다.

에너지와 식료품을 제외한 근원 PCE 가격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3.5%, 전월 대비로는 0.2% 각각 상승해 모두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에 부합했습니다.

변동성이 큰 에너지 및 식료품 가격을 제외한 근원 PCE 지수 상승률은 지난 7월 4.3%, 8월 3.8%에서 9월 3.7%, 10월 3.5%로 내림세를 지속하고 있습니다.

PCE 가격지수는 미국 거주자들이 상품과 서비스를 구매할 때 지불하는 가격을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연준은 통화정책을 결정할 때 소비자물가지수(CPI)보다 PCE 가격지수를 더 중시하는데, 소비자 행태 변화를 반영하는 PCE 가격지수가 더 정확한 인플레이션 정보를 제공한다고 보기 때문입니다.

앞서 연준은 지난 9월 낸 경제전망에서 올해 말 근원 PCE 가격지수 상승률 전망치를 3.7%(중간값), 대표 PCE 가격지수 상승률 전망치를 3.3%로 각각 내다봤습니다.

연준이 통화정책을 펼 때 준거로 삼는 물가 지표가 연준의 예상 경로로 둔화하고 있다는 것은 지금의 통화정책 수준이 충분히 긴축적이라서 추가 금리 인상 필요성이 낮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연준 내 매파(통화긴축 선호) 성향 인사로 꼽히는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도 지난 28일 연설에서 "현재 통화정책이 경제 과열을 식히고 물가상승률을 2% 목표로 되돌리기에 적절하다는 확신이 커지고 있다"라고 밝혀 이런 기대에 부응했습니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