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빈대 잇따라 발견…"여행용품·숙박시설 소독 철저히 해야"

빈대 잇따라 발견…"여행용품·숙박시설 소독 철저히 해야"
최근 공동시설이나 숙박시설에서 빈대가 잇따라 확인되자, 정부가 관계부처 회의를 열고 대책을 논의했습니다.

질병관리청은 보건복지부, 교육부, 환경부, 문화체육관광부, 고용노동부가 참여한 가운데 회의를 열어, 공동 숙박시설 등에 대한 빈대 관리 및 방제 방안을 공유하고, 빈대가 확산하지 않도록 관리를 강화해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빈대는 감염병을 옮기지는 않지만, 사람을 물어 수면을 방해하고 가려움증, 이차적 피부 감염증 등을 유발하는 해충입니다.

1960년대 새마을 운동과 1970년대 DDT 살충제 도입 등으로 국내 개체 수가 급격히 줄었지만, 최근 빈대를 봤다는 신고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지난달에는 대구 계명대 기숙사에서 학생이 빈대에 물렸다는 신고가 접수돼 대학 측이 긴급 소독에 나섰고, 지난 13일에는 인천 서구 사우나에서 살아 있는 빈대 성충과 유충이 발견돼 운영이 잠정 중단됐습니다.

빈대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자, 질병청은 내일부터 공항 출국장, 해외감염병 신고센터에서 프랑스, 영국 등 빈대 발생 국가 출입국자와 해당 국가에서 화물을 수입하는 수입기업을 대상으로 해충 예방수칙을 안내하기로 했습니다.

해외 동향을 파악해 빈대 위생해충 홍보 대상 국가를 수시로 조정하고, 위생해충의 유입을 차단하는 검역소 구제 업무를 강화할 계획입니다.

질병청은 국민들이 빈대 출몰에 대처할 수 있도록 '빈대 예방·대응 정보집'도 홈페이지에 게시했습니다.

빈대에 물린 경우, 물과 비누로 씻고 증상에 따른 치료법과 의약품 처방을 의료진과 상의해야 합니다.

집이나 공동 숙박시설에 빈대가 있는지 확인하려면 침대 매트리스나 프레임, 소파, 책장, 침구류 등 틈새를 살피고, 빈대의 부산물, 배설물 같은 흔적이나 노린내, 곰팡이 냄새가 나는 지점을 찾는 것도 방법입니다.

빈대를 발견했다면 스팀 고열, 진공청소기, 오염된 직물의 건조기 소독 등 물리적 방제와 살충제 처리 등 화학적 방제를 함께 사용해야 효과적입니다.

여행 중 빈대에 노출된 경험이 있으면, 여행용품을 철저히 소독하고, 밀봉 후 장시간 보관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