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취재파일] '폭염 속 사망' 코스트코 유족이 받은 익명의 등기 한 통

'막을 수 있었던 죽음'을 막지 못한 책임은 누가 지나

[취재파일] '폭염 속 사망' 코스트코 유족이 받은 익명의 등기 한 통
갑작스럽게 가족을 잃은 사람들을 취재할 기회가 종종 있습니다. 특히 일터에서 예정대로 '퇴근하지 못한', 다른 말로는 산업재해로 목숨을 잃은 노동자의 가족은 남의 얘기 같지 않았습니다. 침묵으로 일관하는 기업 대신, 숨진 아들의 동료들은 지금과 같은 환경에서 일하지 않도록…. 온전히 슬퍼할 겨를도 없이 카메라 앞에 섰던 아버지의 모습은 더 오래 가슴에 남았습니다.

여전히 '묵묵부답' 코스트코…"조사받는 직원들 옆 대형 로펌 변호사 동석시켜"


서른 살 직원이 폭염 속 카트를 끌다 숨졌던 코스트코는 여전히 묵묵부답입니다. 그럼에도 유족은 꿋꿋하게 싸우고 있습니다. '합의금' 때문이라거나, 원래 질병이 있었다는 악의적인 소문에도 굴하지 않고 산재 인정을 위한 증거를 차곡차곡 수집했습니다. 코스트코 미국 본사에 진정서를 보냈고, 본사로부터 '한국 지사로부터 설명을 듣고 있다'는 취지의 답장을 받았지만 여전히 한국 지사는 반응하지 않고 있습니다. 오히려 고용노동부에 조사를 받으러 출석하는 직원들의 동의 없이 사측 변호사를 동석하는 등 압박하는 분위기라네요. 이런 상황에서 고 김동호 씨의 자택으로 어제(21일) '익명의 등기' 한 편이 도착했습니다. 보낸 사람은 '코스트코 하남점'. 수신인은 고 김동호 씨의 아버지였습니다. 아마도 코스트코 하남점에서 함께 일하던 동호 씨의 동료가 익명의 힘을 빌려 쓴 편지로 추측됩니다. 유족의 동의를 얻어 등기 내용을 기사에 싣습니다.

제희원 취재파일

동료 직원들 "이러다 큰일 나겠다…장본인들이 꼭 책임져야"


글쓴이는 "동호 씨 사망에 한 점 의혹이 없도록 하는 게 목적이라며, 절대 다른 의도는 없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사고가 났던 하남점은 현재 점장 부임 이후 비용 절감에 대한 요구가 몹시 커졌다고 설명합니다. "인건비, 매장운영 비용, 직원들 복지 비용 등 정말 너무하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아끼고 줄여왔습니다.", "분명히 주차 부서에 가능한 인원이 있는데도 말도 안 되는 인원으로 부서 운영을 지시하였다.", "직원들 사이에 이러다 큰일 나겠다는 소리가 너무 많았다."는 내용도 담겨있습니다. 또, "정말 힘들다고 주차직원들이 그렇게 이야기했건만 부점장이 무시했다. 사원이 어려워도 회사 입장에서만 생각하고 판단하였다."는 내용도 적혀있습니다. 편지 말미에는 동호 씨를 사망에 이르게 한 장본인들이 꼭 법과 도덕적인 책임을 져야 한다고 언급했습니다.

오늘 산재 신청…담당 노무사 "사실상의 외인사"


이 사건을 담당하고 있는 권동희 노무사는 이렇게 설명합니다. "이 사건은 '폭염 작업에서 과도한 탈수로 인해 발생한 폐색전증으로 인한 사망'입니다. 마치 건설현장의 열사병과 같은 사고 또는 사고성 질병에 해당한다고 해석해야 합니다. 응급의학과 전문의 소견서에 따르면 김동호 씨의 죽음은 사실상 외인사에 가깝다고 봐야 합니다." 열사병 등 고열 및 폭염 등으로 인해 발생한 질병에 대해서는 판정위원회의 심의를 거치지 않는 것처럼 김 씨의 사례도 근로복지공단 성남지사 자체 심의를 거쳐 빠른 시일 안에 업무상 재해 여부를 판단할 필요가 있다는 겁니다.

이 사건이 수면 위로 드러나게 된 배경에는 응급의학과 전문의의 '특별한 소견서'가 있었습니다. 동호 씨가 쓰러져 병원으로 이송된 이후 두 시간 넘게 김 씨를 살리려 애썼던 강동경희대병원의 응급의학과 전문의는 '이례적으로' 긴 소견서를 작성했습니다. "고인의 과거력 및 사망 전날과 당일의 행적, 응급실에서의 혈액검사 결과를 비추어 볼 때 폭염주의보에서의 과도한 활동은 탈수를 유발하며, 과도한 탈수는 혈전 발생을 유발합니다." 이번 사고가 김동호 씨 개인 탓이 아니라 '과도한 탈수를 유발한 환경'에 있다고 명백히 지적한 겁니다. 담당 의사의 환자에 대한 애정과 살리지 못한 것에 대한 안타까움, 그리고 직업적인 양심이 느껴지는 대목입니다. 누구보다 성실했던 김동호 씨의 죽음에는 명백히 '책임져야 할' 사람들이 있음을 증언하는 목소리가 곳곳에서 나오고 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