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잼버리 조기 철수' 1,200명 배정 숙소 오지도 않았다

<앵커>

이번에는 새만금 잼버리 소식 전해드립니다. 각국 대원들은 태풍 때문에 야영지를 떠나 전국의 숙소로 흩어졌는데 저희가 당시 숙소를 재배치했던 자료를 찾아봤더니 34개 나라 1천 명이 넘는 사람들이 숙소에 아예 오지 않았던 걸로 드러났습니다. 시간과 노력은 물론 예산도 또 헛되게 썼던 겁니다.

신용식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태풍으로 야영지 조기 철수가 이뤄진 지난 8일, 충남 홍성군과 혜전대는 예멘 대원 175명을 맞이하기 위해 숙소와 음식을 마련했습니다.

그런데 온다던 예멘 대원들은 끝내 보이지 않았습니다.

알고 보니 조직위가 이들이 입국도 안 한 사실을 모른 채 숙소 마련을 지시했던 겁니다.

당시 조직위가 작성한 숙소 재배치 계획서입니다.

야영지를 떠난 참가자 3만 7천여 명이 전국 숙소에 배분돼 있습니다.

그런데 취재진이 숙소 재배치 결과 서류를 입수해 계획서와 비교해 봤더니, 무려 34개 국가, 1천2백여 명이 아예 숙소에 오지 않은 걸로 확인됐습니다.

이들 숙소 마련에 든 비용은 당연히, 허공으로 사라져 버렸습니다.

돈도 돈이지만, 문제는 완벽한 관리 실패입니다.

예멘, 시리아같이 입국 자체가 없었던 걸 몰랐던 경우도 있고, 입국은 했지만 숙소에 안 온 대원들도 있는데, 조직위는 왜 그랬는지 파악조차 못 했습니다.

실제 숙소 배정 결과가 계획과 차이가 컸던 이유를 조직위에 여러 번 문의했지만, 아무 답변을 받지 못했습니다.

조기 퇴영 이후 폐영일까지, 참가자들 숙식비나 문화체험 행사 등에 들어간 비용은 2~3백억 원으로 추산됩니다.

정부는 예비비 등을 써서 보전해 주겠다고 약속했지만, 지자체, 기업, 대학 등 사이에 사후 정산 혼선이 불가피하고, 무엇보다 당국의 관리 실수를 혈세로 막아야 하는 상황에 논란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최대웅, 영상편집 : 이상민, CG : 박천웅)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