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톤백' 없고 천막은 일부만…커지는 부실 임시제방 의혹

<앵커>

오송 지하차도 사고의 원인으로 지목된 임시제방의 시공 계획서를 SBS가 입수했습니다. 장마철을 앞두고 계획대로 시공된 게 맞는지 의문이 드는 대목이 적지 않았습니다.

노동규 기자입니다.

<기자>

침수 사고 직전인 지난 15일 아침, 미호천 교각 공사 현장에서 임시제방 긴급 보강이 진행됐습니다.

이런 작업에도 제방은 제 구실을 못했고, 넘쳐난 강물은 지하차도를 삼켰습니다.

[충북 청주시 궁평리 주민(지난 16일) : 자기들이 메운다고 메웠는데, 물이 터진 거예요. 이거는 재해가 아니고 인재에요, 인재.]

SBS가 발주처인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에 제출된 시공사의 임시제방 시공계획서를 입수해 살펴봤습니다.

장비와 인원 투입 계획, 도면과 상세 시공순서 등이 담겨 있습니다.

제방을 다 지은 뒤엔 꼭 천막을 설치하고, 개당 500kg에서 1톤의 흙을 채워넣어 만든 '톤백'을 쌓을 거라고 돼 있습니다.

[최동호/한양대 건설환경공학과 교수 : 흙속에는 공극이 있으니까. 물이 들어가면 흙이 아무런 기능을 못 하니까 (톤백은) 흙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역할을 하는 거고, (천막은) 물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하지만, 사고 당일 범람 전 영상과 사진들을 보면 천막은 일부 위치에만 덮여 있습니다.

톤백은 보이지 않고 흙이나 바위로만 쌓아 올려진 부위가 눈에 띕니다.

계획대로 시공한 건지 의심이 가는 대목입니다.

사고 직후, 중장비를 동원해 톤백을 쌓고 천막 덮느라 분주했던 모습과도 비교됩니다.

또 장마 대비 공사는 6월 29일에야 시작돼 9일 동안 진행됐고, 투입 인력은 7명으로 관리자와 반장 등을 제외하면 실제 직업자는 4명이었습니다.

SBS의 구체적 시공기록 요청에 대해 행복청과 시공사는 답하지 않았고, 행복청은 "공사 과정에서 어떤 불법행위도 한 사실이 없다"고 해명했습니다.

(영상취재 : 이상학, 영상편집 : 박기덕, CG : 장성범)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